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글 簡札의 安否人事에 대한 通時的 考察

원문정보

A Diachronic Study on Safety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한글 간찰의 안부인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전병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track the Diachronic changing aspects of the greeting by targeting Hangul Canchal(old typed letters in Korea)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rom the early of the 16th century . For this, first, we devided 'Hangul Ganchal' into 'Superior-Subordinate Ganchal' and 'Subordinate-Superior Ganchal' by the upper and lower relationship between Sender and Receiver. and they respectively devided into 'Sending letter' and 'the Answer letter'. To consider Diachronic changing aspects we traced on changing aspects based on 'Conventional expression of greeting' by century. The Changing aspects appeared in two major aspects. In the case of Superior-Subordinate Ganchal, it starts becom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centering around the native tongue in 16th century, came to completion in the 17th century. Starts faltering in the 18th century, come to the early 19th century, 'Current style's expression' and 'Chinese letter style's Conventionality' has changed in two directions. In the case of Subordinate-Superior Ganchal, it had been strengthen 'Conventionality' consistently from the 16th century until in the 19th century, but it differs from the specific aspects with Superior-Subordinate ganchal. It means that 'Conventionality' had been changed to 'centering around the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rom 'the centering around the native tongue'.

한국어

본고는 16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한글 簡札을 대상으로 安否人事의 通時的 變化樣相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글 간찰을 發信者와 受信者의 上下關係에 따라 ‘上下間 簡札’과 ‘下上間 簡札’로 분류하고 각각을 다시 寄狀과 答狀로 나누어 살폈다. 통시적 변화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안부인사의 ‘常套的 表現’을 기준으로 삼아 세기별로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변화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上下間 簡札의 경우에는 16세기에 고유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으로 유형화되기 시작하여 17세기에 정형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면서 고유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이 동요되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이르러 두 가지 방향, 즉 漢文簡札式 상투화로의 退行과 고유어 중심의 탈상투화로 변모하였다. 下上間 簡札의 경우에는 16세기부터 한자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으로 유형화되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상투성이 강화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머리
 Ⅱ. 上下間
  1. 寄狀
  2. 答狀
 Ⅲ. 下上間
  1. 寄狀
  2. 答狀
 Ⅳ.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병용 Jeon, Byeong-yong. 단국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