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새자료 <麴生傳> 연구

원문정보

새자료 <국생전> 연구

A Study of <Kuk-saeng-chon>

최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he study of new works;. It is a fictitious tale in that alcole is personified. In general constitution of a fictitious tale are made up of story of forefathers, achievements and evaluation. However, the story is characterized in the constitution and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e aspects are increased ancestral story, very little talk about the accomplishments, described as a conflict with "I" and "Kuk-saeng". Representation of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are in three. First, fittaken advantage of the story is history. Second, be used literature in the preceding period, specially using poetry of Li-bo of Tang. Third, there are described as dialogic. Third feature hav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nflict and straightforward discipline. in the fictitious tale personify alcole of the 19th century shows the changes in. A lot of people know the old stories are listed in the knowledge of alcole story. The writer pays for the act of drinking is considered negative. He is not high, people would have been the literary skills in the late Choson Dynasty.

한국어

본고는 새로이 발굴한 술 소재 가전 <麴生傳>을 소개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麴生傳>은 단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비평본 <紅白花傳>의 뒷부분에 합철되어 있다. 이 작품은 술을 상징하는 국춘이라는 인물이 주인공이지만, 여타의 가전들과 달리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구성적 특징과 표현적 특징으로 나눠 고찰하였다. 구성적 특징으로 <국생전>은 서두, 행적, 평결의 구성이라는 유형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서두에서는 국춘과 그의 선계가 소개된다. 특이한 점은 국춘의 선계에 대한 서술이 다른 가전들보다 확대되었다는데 있다. 또한 <국생전>은 국춘의 행적이 거의 기술되지 않았다. 국춘이 태어나게 된 계기와 개명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그의 성품에 대해 서술한다. 작품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평결 부분은 나와 국생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국생에 대한 나의 훈계로 작품이 이어진다. 표현적 특징으로 <국생전>은 전대 문헌이나 고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전대의 가전을 잇고 있지만 술 관련 고사를 확장 나열한다는 점, 그리고 이백의 시를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또한 나와 국생과의 갈등을 대화체로 서술하여 긴장감을 고조시킴으로써 두 사람의 갈등을 상세히 표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술과 금전과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작가의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국생전>은 조선후기 가전의 변모 경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표지가 된다. 고사나 문학작품을 활용함에 있어 술과 관련된, 상식화된 일반적 지식을 나열하는 것은 조선후기 단형 서사체 및 서사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일치한다. 또한 대화체를 통한 인물 간 갈등의 고조를 조장하는 방법은 조선후기 소설의 기술 방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상이다. 요컨대, <국생전>은 가전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서사체 및 소설에 경사되면서 흥미적 요소를 강화시킨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국생전>의 의의는 여기에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麴生傳>의 문헌적 고찰
 Ⅲ. <국생전>의 특징
  1. 구성적 특징
  2. 표현적 특징
 Ⅳ. <국생전> 의의 - 맺는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윤희 Choi yun-hi.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