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天馬 설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olk tales of ‘Cheon-ma(The Heavenly Horse, 天馬)’

천마 설화 연구

안병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eon-ma(The Heavenly Horse; 天馬)’ is one of the swift sacred horses, and it is only possible for sacred objects or divine existence riders to ride it. ‘The upper regions’ is also the product of humans’ imagination. The horse is the fastest animal of tame animals for riding on the ground. Human being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fastest animal on the ground. And then they thought up ‘the horse’ and added the image of wings in the heavens to intensify its original rapid appearance. The color of the Heavenly Horse is normally white, and only swift horses have the qualification as Heavenly Horses. The ancestor of the horse is believed to be the ‘Wild Horse’, tamed by nomads. In ancient times, the ‘White Horse’ was held especially sacred. According to the Bible, soldiers of heaven rode a white horse, including Christ. In Korean folklore, the white horse appears often as the animal of heaven. In the story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the main character ‘Woodcutter’ rode a white horse between heaven and the earth. Pegasus is a winged divine horse. He was born at a single birthing when his mother, Medusa, was decapitated by Perseus. He was born from the blood issuing from Medusa’s neck as Perseus was beheading her. He carried thunderbolts for Zeus between heaven and the earth right after birth. Afterward, Zeus transformed him into the constellation Pegasus and placed him in the sky. This is the constellation of ‘Pegasus’. In our folk beliefs, we used to change a name of the ‘Heavenly Horse’, and called it differently. The shaman made a model of a horse from straw or wood at the altar. And then, sometimes it called ‘Heavenly Horse’ that associated with the sun or the sky. This is the kind of the horse's totem, and it seems to give some sanctity to ordinary horses. Thus, it is also called ‘Moo-sin(武神)’, ‘Je-wang(帝王)’, and ‘Gunma-daewang(軍馬大王)’. At times, it allows euphonic changes, such as homonym[同音異義] and vice versa[同義異音]. The Heavenly Horse shows up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In the West, it appears in myths and constellations. In the East, it has relevance to heroism, longevity, God, and exists with totemism. This is the ‘Heavenly Horse’.

한국어

‘천마(天馬)’는 말 중에서 신성성(神聖性)이 부여된 준마(駿馬)로 신성한 존재나 그것에 근접한 객체가 타는 ‘말’을 일컫는다. 천마의 주 거소지인 ‘하늘나라[天界]’는 인간이 상상한 또 다른 세계다. 지상에서 인간이 길들여 이용할 수 있는 동물 중에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동물이 ‘말’이다. 그 말을 ‘하늘’이라는 또 다른 세계에 옮겨 놓고 주파력을 생각하다가 그것에다 ‘날개’ 하나를 추가한 것이 ‘천마’다. 천마의 색깔은 ‘백마’가 많고, ‘준마’만이 천마가 될 수 있다. 말의 조상은 야생말이고 초원 지대의 유목민들에 의해 길들여졌다. 특히 흰 말은 신성시 되었다. 󰡔성경󰡕에 의하면 그리스도를 비롯한 천국의 군사들은 ‘흰 말’을 타고 있다. 한국의 민간전승(民間傳承)인 ‘나무꾼과 선녀’에서 나무꾼이 탄 흰 빛깔의 천마는 하늘과 땅을 오가는 동물로 설정되어 있다. 우리의 민간전승에서는 ‘천마’라는 고유한 이름 자체에 변화를 주어 부르기도 한다. 무당(巫堂)들이 제단에 짚이나 나무로 말 모양을 만들어 두고 그것을 ‘천마’라 하여 하늘이나 태양과 관련지어 부르기도 한다. 일종의 말 토템으로, 이는 보통말이 가진 이미지(image)에 신성성을 부여한 것이다. 그리하여 ‘마신(馬神)’이나 ‘무신(武神)’, ‘제왕(帝王)’⋅‘군마대왕(軍馬大王)’의 별칭까지를 얻기까지 했다. 때로는 음운을 변화시켜 ‘뜻은 같은데 음이 다른[同義異音]’ 경우, ‘음은 같은데 뜻이 다른[同音異義)’ 경우까지 용납하였다. 천마가 서양에서는 페가수스가 등장하는 신화나 별자리에, 동양에서는 장수나 영웅, 하늘의 주재자와 인간 사이를 교통하는 메신저나 ‘사자(使者)’로 나타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언
 Ⅱ. 역사 속의 천마
 Ⅲ. 설화 속의 천마
 IV.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병국 An, Byeong-Guk.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