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於于野談』소재 <암곰과 함께 산 麟蹄縣 백성> 설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Inje-hyeon people live with female bear> in 『Euyadam(於于野談)』

『어우야담』소재 <암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 설화 연구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terial of Tale is that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I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d . is a tragic story which female bear died after man run away. The content of Tale is similar to . But the content do not focus death of bear, but focus that Inje-hyeon(麟蹄縣) people became rich. It change from legendary character to folk tale. And contrary to , it can not confirm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in conclusion. Tale become the folktale in various ways. Above all, it take over mythical motive of , which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and describes sexual intercourse of man and animal in terms of bawdy. Second, it emphasizes riches, refusing the view that look at dramatic death of bear. In the story, Inje-hyeon people that lived with bear became rich as they occupied saving money of bear after death of one. This point reflect views of secularization and materialization, compared with and . Third, it borrowed mimic motive from folk tale. Kim Yun who envy an affaire in Inje-hyeon mimiced this but he was died by bear. Either the folktale of Tale can be made by creative power of his, Yoo MongIn(柳夢仁), or very popularity can be handed down by folk tale at the time. Maybe then the tale which man have a connection with bear might get out of mythology and legend. If I investigate another folk tales in 󰡔Euyadam󰡕, I will get better result.

한국어

<암곰> 설화는 ‘인간과 곰의 결연’이라는 점에서 신화인 <단군신화>와 전설인 <곰나루전설> 등과 공통된 모티프를 공유한다. 또 남자가 도망친 이후 암곰이 죽음에 대한 부분이 언급되어 있어서 <곰나루전설>과 공통된 비극성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야기의 초점이 곰의 비극적 죽음보다는 주인공인 인제현 백성이 부자가 되었다는 점에 모아져 있어서 전설적 성격에서 벗어나 민담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는 민담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결말에서 지명에 관한 유래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곰나루전설>과는 다른 성격을 띠게 된다. <암곰> 설화는 다양한 방식에서 민담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인간과 곰의 결연’이라는 <단군신화>의 신화적 모티프를 계승하면서도 수간(獸姦)이라는 음담적 관점에서 인간과 곰의 성교를 묘사하고 있다. 또 곰과 함께 살았던 인제현 백성이 곰이 죽자 곰이 모아놓은 재화를 차지해서 부자가 되었다고 해서 곰의 죽음을 비극적으로 바라보던 전설의 세계를 거부하고 ‘치부담’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인제현 백성이 곰과 결연을 통해 부자가 되었다고 하는 이 부분은 달리보면 인간과 곰이 결연한 결과 단군 또는 새끼를 낳았다고 하는 <단군신화>나 <곰나루전설>과는 다른 세속적이고 현실적인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또 <암곰>의 결말에서 인제현 백성의 일을 부러워하던 김윤이라는 인물이 이를 흉내냈다가 오히려 곰에 의해 죽게 되었다고 하는 부분은 민담의 ‘따라하다 망하기(모방담)’의 모티프를 차용한 것이기도 하다. <암곰> 설화의 이러한 민담화 경향은 유몽인 개인의 창작적 역량에서 이해할 수 있는 요소도 있고, 이미 유몽인 당대에 ‘인간과 곰의 결연’이 신화와 전설의 세계를 벗어나 민담차원에서 활발히 전승되고 있던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진전된 논의는 󰡔어우야담󰡕에 수록된 또다른 구비설화들을 검토해보면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사람과 곰의 결연’ 모티프의 설화적 존재양상
  1. <단군신화>의 경우
  2. <곰나루전설>의 경우
  3. <암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 설화의 경우
 Ⅲ. 세 자료에 나타난 모티프, 서사구조, 세계관의 지속과 변모
  1. 모티프 차원의 지속과 변모
  2. 서사구조의 지속과 변모
  3. 세계관의 변화
 Ⅳ. <암곰과 함께 산 인제현 백성> 설화의 민담화 경향
  1. ‘치부담(致富談)’화
  2. ‘모방담’ 모티프의 차용
  3. ‘음담(淫談)’적 색채 강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정 Kim HyeJeong. 경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