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許筠佛敎詩의 禪的趣向

원문정보

Zen Preference of Heo Gyun's Buddhist Poetry

허균불교시의 선적취향

김재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Confucianism had chosen as a national ideology and Buddhism had been suppressed as a heresy. In Heo Gyun's era, it was absolutely unthinkable for a member of literate elite to study anything else than Neo-Confucian Philosophy or even learn Buddhist teaching. Considering these political environments, it is quite interesting to see why and how Heo Gyun accepted Buddhism and expressed it in his literature. The fact that he wrote forewords for Hujeong's and Yujeong's books shows that he had a special place in Buddhist society. Hujeong also acknowledged tat Heo Gyun's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remarkable. Through reading and practice, Heo Gyun achieved profound level of Buddhist thought, which was the spirit of Zen, the core of Korean Buddhism. Heo Gyun founded his Buddhist theory after studying Neungeomgyeong, Neunggagyeong, Yumagyeong, and numerous other Buddhist scriptures, and also experienced the Zen by practicing Buddhist meditation. His poetry shows his deep affection and broad knowledge for Buddhism. The article analyzes Heo Gyun's Buddhist poetry by grouping them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that describes his relationship with Buddhist monks, and the second ones that are about Buddhist temples. The analysis shows that his poetry deals with various subjects and themes such as unworldliness of Buddhist temples, his understanding of Buddhist thought, emptiness of life, his will for life through Buddhism. Describing Buddhism as a ship of generosity that saves him from the sea of pains, Heo Gyun declares that he wishes to convert to Buddhism. Also it is noticeable that temples in his poetry are not only just physical background for the poetry but also a place where his ideals are realized,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literate elites' poetry. Surely the thirty poems that analyzed here does not represent the entire world of Heo Gyun's Zen poetry. But it will help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and other literate elites' Zen poetry.

한국어

조선은 건국 초부터 성리학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채택하였으며, 불교는 이단으로 간주하여 탄압하였다. 허균의 시대는 억불정책이 완전히 정착되어 성리학 이외의 학문에 종사하면 사대부로서 살아가는 것 자체를 위협받을 정도로 경직된 시기에 불교의 가르침을 따르고 실천하면서 이를 문학작품의 창작에까지 확대했던 허균의 모습은 그 자체로 주목할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조선조를 통틀어 최고의 승려라 일컬어지는 휴정과 유정의 문집에 서문을 지었을 정도로 불교계에서의 위치가 남달랐다. 또한 휴정이 그의 불교적 자질을 인정하였을 만큼 불교에 대하여 수준 높은 지식을 소유하였다. 그의 불교적 사유는 독서와 수행을 거치면서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안에는 한국불교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禪의 정신이 자리하고 있다. 그는 󰡔능엄경󰡕, 󰡔능가경󰡕, 󰡔유마경󰡕을 비롯한 다수의 불경의 섭렵함으로써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고, 참선을 통해 선의 영역을 몸소 체험하기도 하였다. 그의 불교 취향 한시 속에는 불교에 대한 애정과 해박한 지식, 선을 중심으로 한 불교 인식이 녹아들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을 승려들과 교유한 작품, 사찰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의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 안에는 산사에서 느껴지는 탈속적인 선취와 그의 불교적 소양, 인생살이의 허무함, 불법을 통해 삶 속에서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등 다양한 내용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침내 그는 불교를 고해와 같은 현실에서 자신을 구제하여 피안으로 인도해주는 자비로운 배라 표현하면서 불교로의 귀의를 희망한다고 선언하였다. 여기에서 사찰이 시를 구성하는 배경의 역할을 넘어 자신의 이상을 실현해주는 공간으로 설정된 점이 눈길을 끈다. 일반적으로 사대부의 시 속에서의 사찰은 배경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禪중심의 佛敎認識
 Ⅲ. 僧侶와의 交遊
 Ⅳ. 寺刹을 배경으로 한 禪趣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욱 KIM CHAE WOOK.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