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여헌학의 심층적 이해(Ⅲ)

여헌의 順天的 삶과 그 의미

원문정보

Yeheon's Life of "Following the principle of the Heaven(順天)" and Its Significance

여헌의 순천적 삶과 그 의미

장숙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eheon thought a person would be best only when she or he achieves the work of the universe after writing "Yuju yo gawlchup" 宇宙要括帖 in the age of 18. And, he had made an effort in order to practice the value of human beings until he died. In his view, the most ideal life is to follow the principle of the Heaven and realize it to the perfection. Yeheon, who is one of the typical Mid-Joseon Confucians, claimed that every creature has each place mandated by the principle of Heaven and therefore should follow its place. In this regard, we can see that his ideas of life can be classified into "satisfaction," "detachment," "living together with people," and "living at a ripe old age." These four stages of life are different in their appearance, but are similar in that each stage follows its sta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Heaven. The life of satisfaction means that people should keep their place within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at is, "keeping within one's bounds," and they should play their role to the best as part of three elements of the universe, that is, "exerting oneself to the utmost." In addition, the life of detachment is not a Daoist negation of reality, but a Confucian method to realize human values not to be entombed in reality, but to live free from worldly cares. Third, the life of living together with people means that people should respond appropriately in a given situation without denying Confucian morality or rituals. The life at a ripe age means that people should keep practicing "what they should do" while cultivating their mind despite their bodily limitation. These different phases of "Yeheon's ideas of following the Heaven" aim for an ideal Confucian human being, not for worldy power or wealth. Therefore, his emphasis on the Confucian morality or the order of human world is a way to show the value of human beings, not to solidify the class system or to suppress people. Yeheon made an effort to prove the justification of these different stages of life through a thoughtful study of the principles of the Yijing, Taiji (太極), and Liqi (理氣). However, it is uncertain that people at present can be persuaded by the his justification.

한국어

여헌은 18세에 「宇宙要括帖」을 지어 천하에 제일가는 사업인 우주사업을 할 수 있어야 천하에 제일가는 사람이 된다고 다짐한 이후 죽을 때까지 인간의 가치실현을 위해 노력했던 인물이다. 조선중기의 전형적인 성리학자였던 여헌에 따르면 모든 존재는 천리로부터 주어진 정해진 분수가 있으며, 따라서 이 분수에 따르는 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당위인 것이다. 여기에서 여헌이 보여준 삶의 모습은 크게 安分의 삶, 超脫의 삶, 同塵의 삶, 老齡의 삶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네 가지의 삶의 양상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하고 있지만 모두가 천리에 근거한 분수에 따른 삶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안분의 삶은 시공의 한계에 따라 각 개인에게 주어진 분수를 지키는 守分과 삼재로서의 인간이 마땅히 다해야 하는 盡分을 다 포함한다. 초탈의 삶은 도가적인 현실부정이 아니라 유가적인 인간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실적인 한계에 매몰되지 않고 유유자적하는 삶이다. 동진의 삶은 유가적인 의리나 예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때와 장소에 따라 그것에 맞게 대응하는 삶이다. 노령의 삶은 육체적인 한계 속에서도 마음수양을 계속해 나가야하는 인간의 당위를 끊임없이 실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여헌의 순천적 삶의 여러 양상들은 유가적인 현세지향이 권력이나 물질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지향하는 것임을 잘 보여준다. 그러므로 유가적인 도덕과 인륜질서의 강조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가치를 드러내기 위한 방법이지 계급적 질서를 고착화하기 위한 것이거나 인간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쓰여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런 삶이 가진 가치에 대해 여헌은 역의 이치를 비롯하여 태극, 이기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통해 그 정당성을 제시하려 하였지만, 오늘날의 사람들에게는 어떻게 그 정당성을 설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여헌의 인물과 문제의식
 Ⅱ. 인간의 당위와 순천의 관계
  1. 당위와 천리
  2. 당위와 분수
 Ⅲ. 순천적 삶의 구체적 모습
  1. 안분의 삶
  2. 초탈의 삶
  3. 同塵의 삶
  4. 老齡(耄齡)의 삶
 Ⅳ. 여헌의 순천적 삶과 그 의미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숙필 Jang, sookpil. 한양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