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기 효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Preschool Hyo Education

신선진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14호 2011.12 pp.105-12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our efforts to restore the spirit of hyo, or filial piety, through home education, school education, societal edu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are to correct the ethical evils of our society and construct a healthy society for a brighter future of the nation. In order to lead the youth who are wandering in the flood of foreign ideas and thoughts into a right direction and to redefine our real self through establishing a new value system and rebuilding our ethical mind, we need to think about the right way to teach hyo to our innocent and pure gener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ir preschool years. Filial piety, like morality, is a human trait to conduct filially pious behaviors. The components of filial piety are related to four human traits, such as cognition, emotion, will, and spirituality. For example, "reading" is related to cognition, "fidelity" to emotion, "behavior" to will, and "belief" to the spiritual and religious side. In the context of hyo education, it is the component of fidelity, which is related to the emotional domain, that needs to be defined. Fidelity bears a specially important meaning as it is the starting base for the implementation of agent-centered hyo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agent-centered hyo education requires fidelity towards the object of belief system as a prerequisite for its actual implementation. A generalizable framework that can function as a tool for the analysis of hyo ethics should include the hyo ethics content found in both the Western philosophy, including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the Oriental philosophy,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is consideration a universal hyo ethical system for the analysis of hyo ethics can be developed with four components, such as obedience, affection, ascendants, and represent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and the content of hyo education to make it a more universal virtue. In order to do so, the content of hyo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 single virtue like obedience, but should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clude affection, ascendants, and representation as well. However, hyo education needs to be viewed from more complex perspectives as it is based on the multi-faceted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Experience of various daily activities and tasks in the nursery schools will help the children grow up as whole persons, respect and honor parents and older people, grow up to be democratic citizens capable of playing their roles in the society. In sum, hyo education will help the basis for the children to grow up to be physically and emotionally sound persons and to be able to live harmoniously with other people in the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rt hyo education earl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combined efforts of home and nursery schools to teach them will produce exemplar children who are pious to their parents.

한국어

우리가 국가 장래를 위해서 가정이나 학교, 나아가 사회, 국가 교육을 통하여 전통윤리인 효의 정신을 회복시키는 것은 우리 사회의 윤리적 병폐를 바로잡고 건전한 사회상을 만들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체계의 확립과 윤리 의식의 재정립을 통하여 외래 사상과 물결 속에 방황하는 젊은 세대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고 우리의 참모습을 재조명하기 위해서는, 순결하고 참신한 유아기 원아들에게 어떻게 효를 지도하는 것이 옳은 것 인지 생각해볼 때라고 한다. 효성이란 마치 도덕에 있어서 도덕성과 같이 효를 행하는 데 관련된 인간성을 의미한다. 이 효성의 구성요소는 흔히 인간성의 구성요소로서 인정되는 지, 정, 의 그리고 영과 상호 관련하여 크게 지적인 면과 관련된 판독(reading), 정서적 면과 관련된 경건(fidelity), 의지적인 면과 관련된 행위(behavior), 영적이고 종교적인 면과 관련된 신념(belief)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히 효교육과 관련하여 효성의 구성요소로서 규명해야 할 것은 인간의 정서적인 면과 관련된 ‛경건’이다. 경건은 효성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행위에서 행위자 중심의 효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뚜렷한 분기점이 ‛경건’개념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즉, 행위자 중심의 효교육은 효를 구체적으로 행동화하기 전에 신념체계의 대상에 대한 경건(Piety)이 전제된다는 의미이다. 한편 보편화가능성의 효윤리체계가 분석의 틀로서 제대로 그 기능을 수행하려면 관련된 서양 철학을 비롯한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동양 철학을 비롯한 유교나 불교 그리고 도교에 있어서의 효윤리 내용을 대체로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효윤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로서 보편화 가능성의 효윤리체계를 네 가지 변수, 즉 순종, 친애, 존속, 대리 등을 중심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교육의 내용을 보다 보편적 덕목으로 체계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효교육의 내용을 한두 가지 내용으로 전개하지 말고 효의 내용으로서 순종 이외에 친애, 존속, 대리 등의 덕목을 중심으로 보다 복합적으로 내용을 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 간의 다양한 관계망을 전제로 하는 효의 교육은 보다 복합적인 관점이 필요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효학은 실천 학문이다. 보육시설에 다니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유시설에서 경험하는 여러 가지 활동과 매일의 일과를 통하여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돕고 함께 사는 사회에서 웃어른과 부모님을 공경하고, 자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길러주어서 궁극적으로는 영유아가 심신이 건강하고 조화로운 사회구성원으로 자라도록 기초를 마련해 주기 위해서, 효교육은 조기에 교육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유아기 아동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보육원과 가정에서 동시 지도하면 유아들이 올바르게 자라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모범적인 어린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I . 서론
 II. 효윤리 교육과 효성(孝性)
 III. 효성의 구성요소 분석
 IV. 효윤리체계 덕목의 연령별 교육과정
 V. 교수 학습 과정안 활용
  1) 지도방법과 교수 학습 과정안(순종의 효)
  2) 지도방법과 교수 학습 과정안(존속의 효)
  3) 지도방법과 교수 학습 과정안(친애의 효)
  4) 지도방법과 교수 학습 과정안(대리의 효)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선진 Shin, Seon - Ji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