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nhancement of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Aids of TV Platforms

이준호, 유승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eption condition of broadcasting aids-sign language, closed captioning(CC), and descriptive video service(DVS) for the disabled-by broadcasting platforms, such as analogue/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analogue/digital cable TV, and direct broadcast satellite(DBS). The study conducted a national field survey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sabled have any problems in enjoying the above-mentioned broadcasting aids. As a result, the disabled have problems in receiving especially closed captioning and descriptive video service overall. There are several local regions where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in receiving these aids. For instance, SBS digital signal’s closed captioning, KBS2 and EBS analogue signals’ descriptive video service were not comfortably received by the disabled. Descriptive video service particularly was out of concern in terms of broadcasters’ programming interests and was not reached well either. The core problem of broadcasting aids for the disabled lies in analogue TV sets and set-top boxes because various platforms such as cable TV and DBS hardly modulate video and audio signals and merely bypass them which broadcasters sent. In order to rectify these problems,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should conduct more systematic policy support. Also, TV and set-top box manufactures do their best for the various broadcast aids to be well recei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united as well as multiple standard devices to the disabled. In addition, more supply of cheap reception devices and TV sets, programming providing closed captioning and descriptive video service, and convenient graphic user interface(ex, remote controllers), which can well provide such broadcast aids for the disabled soon.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 방송접근권 강화를 위한 지원 장치인 장애인 대상 방송지원 현황을 지역별로 방송수신환경에 따라 점검 및 조사함으로써 그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예비조사와 실측조사, 그리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장애인을 포함한 방송시청자의 권익과 커뮤니케이션 장애 극복을 통한 보편적 시청권 증진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공통적으로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에 비해 지역 거주 장애인들이 장애인을 위한 방송 신호 중 일부를 수신하기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SBS의 디지털 자막방송과 KBS2 및 EBS의 아날로그 화면해설방송의 수신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자막방송의 제작과 송수신에 비해 화면해설방송의 경우는 편성량도 적고, 수신상황도 좋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장애인방송지원의 문제점은 자막 및 화면해설 방송 지원을 위해서 필요한 수신기의 문제와 셋톱박스의 표준문제가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일차적으로 통일된 기술표준 개발이 시급하다. 후속적으로 저가의 수신장비 보급과 편성량 확대, 조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리모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장애인 방송지원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정책지원과 방송사 및 셋톱박스제조업체와 수신기 보급업체의 협력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 배경 및 관련연구 검토
 Ⅲ. 장애인 방송 수신 현황
  1. 조사대상 방송 및 조사방법
  2. 실측조사결과
 Ⅳ. 장애인방송 수신 개선 관련 심층인터뷰
  1. 편성현황
  2. 문제점
  3. 개선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준호 Joon-ho, Lee.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유승관 Seung-kwan, Ryu. 동명대학교 언론영상광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