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location of Gwanaru in Joseon examined from old maps in the 18th century
18세기 고지도로 살펴 본 조선시대 관아루의 입지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cation of Gwanaru from old documents and maps in the 18th century Joseon. It is hard to figure out the exact number of remaining Gwanbangru because they are too few, and even remaining ones are those recently restored or relocated that make it difficult to stud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wanbangru.. This study investigated documentary location of Gwanbangru in towns and districts of 8 counties in Joseon with reference to Yeojidoseo, a 18th century geographical book. Then, their locations were double-checked from Yeojido and Haedongjido, two old maps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i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official inn to classif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relevance between official inn building and geographical condition. Different to the Goryeo period, recep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 of the official inn in Joseon was slightly weakened. Thus, a pavilion seems to be built to complement it. Accordingly, together with pavilion (gazebo building), the pavilion building in the public office is an important object in understanding the entertainment of ancestors in Joseon. Although old maps lack accuracy for their painted type,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a plausible research theme for the study of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한국어
본 논문은 18세기 조선의 고문헌과 고지도의 기록을 통하여 당시 관아 루의 입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재 남아있는 관아 루의 개체 수는 통계를 내어 분류하기엔 그 개체수가 너무 적고 남아 있는 것 또한 최근 들어 복 원 된 것이거나 그 자리가 옮겨진 것이 많기 때문에 현존하는 관아 루로 입지 특성을 연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러나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지리서인 여지도서의 조선8개도 부·목 지역의 관아 루의 문헌상 위치를 조사하고 18 세기 고지도인 여지도와 해동지도를 통해 그 위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변 자연 요건과 객사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입지적 특성을 분류하고 객사 건물과의 연관성 및 입지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관아 루의 입 지를 7가지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었고, 관아 루의 입지와 주변 자연경관의 관계가 밀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와는 다르게 조선시대의 객사는 접대 및 향연의 기능이 다소 약화되어 그 해결방안으로 누각을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관아시설의 누각 건축은 정자 건축과 더불어 조선시대 선조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 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비록 고지도가 회화 형식이라 정확도 면에 있어서 미진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관아 건축 연 구에 있어서 하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의의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I.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3. 선행연구 검토
Ⅱ. 루의 기능과 관아 루
2-1. 루의 기능
2-2. 관아 루와 객사와의 관계
Ⅲ. 18세기 사료 속의 관아 루와 객사
3-1. 여지도서의 관아 루
3-2. 18세기 고지도의 관아 루
Ⅳ. 관아루의 입지 특성
4-1. 객사 주변 자연경관에 따른 관아루의 입지유형 분류
4-2. 관아 루의 입지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