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重層 門樓 및 將臺의 木造階段에 관한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f the wooden staircase of the two-storied gate tower and Jangdas.

중층 문루 및 장대의 목조계단에 관한 연구

손창일, 장헌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wooden staircase, which is installed at a flat space on the 2ndfloor among medium-rise buildings, which has floor. The stone staircase is used as one of the historical materials for judging architectural style or age, because there are more abundantobjects of historical significance than wooden staircase from The Period of three States to Chosun Dynasty. There has been lack of studies on wooden staircase, because there have not been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original from due to a weak durability. The wooden staircase is a basic element to climb to 2nd floor in the middle rise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forms of wooded staircase differs according to structures of flat space and functions of building. In addition, the position of wooden staircase is also determined by a certain ceremony or moving line and it is usually focused on a certain ceremony rather than moving line.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ethod of installing staircase at a narrow space by analyzing various structural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he size of lower part of rail was big and diversified with a sophisticated detailed carvings at the beginning, but those have started to become smaller and standardize from 18c Paldalmoon(gate). Also the elephant shaped Poonghyul(air hole) of the staircase railings was existing, but latterly it changed to be engraved. (It can be identified) After the compilation of the Hwaseong songyouk eugye(building techniques and methods of the Hwaseong castle), the detailed techniques of the construction of railings has become standardized.

한국어

본 연구는 중층건물 중 2층 마루가 형성되어 있는 평면 공간구성에서 계단의 위치와 의장적 변화에 관한 연구이 다. 석조계단은 목조계단에 비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풍부한 유구들이 남아있어 건물양식 및 시대를 판단하 는 하나의 자료로써 사용되고 있다. 목조계단은 재료 내구성이 약하여 교체 시기가 빠르고, 원형에 대한 자료가 부 족하여 그동안에 연구가 미비하였다. 목조계단은 중층건축에서 2층으로 오르기 위해 설치되는 기능적인 요소로 그 평면구성 및 건물 기능에 따라 다양 한 형태가 나타나고, 의례 및 동선에 따라 계단위치가 결정되는데, 특히 의례를 동선보다 중요시 여겨 계단위치를 결 정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좁은 공간에서 계단을 설치하기 위하여 어떤 구조 수법이 나타나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난간하엽은 초기에는 형태가 크고, 다양하며 세부초각이 정교하게 되어 있는데 반하여 18C이 후 팔달문부터는 갈수록 크기도 작아지면서, 정형화 되어가는 것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계단난간 안상의 풍혈 도 초기에는 보이지만 후기로 갈수록 음각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화성성역의궤의 편찬으로 이후 조성되는 난간은 세부수법 양식이 정형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선행연구 검토
 Ⅱ. 목조계단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계단의 문헌적 고찰
  2. 계단의 정의
  3. 용어의 정리
 Ⅲ. 목조계단의 구성 분석
  1. 건물 면적과 계단 면적의 비례분석
  2. 계단 위치에 따른 분석
  3. 계단위치에 따른 기능 분석
  4. 계단 형태 및 진입 방향 분석
  5. 구성 특성
 Ⅳ. 목조계단의 구조분석
  1. 계단 폭 및 챌판 유형 분석
  2. 계단 디딤판 유형 분석
  3. 계단 경사 분포 유형 분석
  4. 계단 난간의 시대 구분 및 뒷널 기능 분석
  5. 계단 주사용 성격에 따른 비교분석
  6. 구조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손창일 Son, Chang-il.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 장헌덕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