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Buber 관계론을 통해 본 초등교사와 아동 관계의 의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Child Based on Buber's Relation Theory

이정표

초록

영어

Buber see 'I-it' relation and 'I-Thou' relation as the category of universal life bringing all human relations together. Although the educational relation is in a category of universal life, it also must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Because child as a pole of relation be qualitatively unique being differing from adult.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consider child as being of 'growing process'. Then the educational relation take away equality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child. Consequently their relation don't enter into interactive 'I-Thou' relation but 'I-Thou' relation of one-sided inclusion through a teacher's effort and will. Therefore if it may admit in the educational relation, we have no choice but to creat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relation and the relation's philosophy.
It is as follow to admit one-sided inclusion in the educational relation. First, the eductional relation unlike the relation holds for the intentionality. It mean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must lead child as interactive 'I-Thou' relation.
Second, the educational relation will create to have enter into a relation. For begining of their relation are involuntary, it can only accomplish through process of entering into a relation.

한국어

Buber는 ‘나-그것’관계와 ‘나-너’ 관계를 모든 인간관계를 아우르는 보편적 삶의 범주로 보았다. 그러나 교육적 관계는 보편적 범주 안에 있지만, 교육만의 특수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관계의 한 축인 아동이 성인과는 질적으로 다른 존재로, 그들의 미성숙함을 초등교사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교육적 관계는 초등교사와 아동에게서 동등성을 앗아간다. 그 결과 그들의 관계는 상호적인 ‘나-너’ 관계가 아닌, 초등교사에 의지와 노력에 의한 일방적인 포용의 ‘나-너’ 관계에 들게 된다. 따라서 교육적 관계에서 이것을 허용하게 되면, 상호성에 기반한 기존 관계철학과의 논리적 모순이 생성될 수밖에 없다.
초등교사와 아동이 맺게 되는 교육적 관계가 일방적 포용을 허용하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관계는 보편적 관계와는 달리 지향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초등교사의 교육행위가 아동을 상호적인 ‘나-너’ 관계로 이끌어야 한다. 둘째, 교육적 관계는 관계를 맺어야 생성되는 것으로 관계의 선험적 성질과 마찰을 빚는다. 그러나 초등교사와 아동의 관계는 그 시작이 임의적이기 때문에 맺는 과정을 통해서만 ‘나-너’ 관계를 체험할 수 게 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Buber의 교육적 관계 논의
  1. 교육적 관계의 시작: 아동에 대한 이해
  2. 교육적 관계의 특수성: 일방적 포용
 Ⅲ. 초등교사와 아동의 관계
  1. 교육적 관계 1: 지향성
  2. 교육적 관계 2: 반(反) 선험성(a priori)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표 Lee, Jung pyo. 원주 명륜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