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ssistant teachers((in the following TA) and teachers in charge((in the following TIC) about TA's teaching life &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enhance their competence and school life. In addition, it will be databased to understand their competence in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IC recognize that female TA understand students well and form more intimate personal relations in their school life and as the age of assistants' is getting higher, they have closer relation with students. TIC and TA both think positively toward each other: TIC think positively about schools' recruiting TA and utilizing them and TA think positively about teaching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assisting in class, and helping teachers chores.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A's understanding in the students that they are in charged is higher than TIC. Therefore, TIC think TA are better in students' counseling since they can approach to them more intimately and spend a lot of time in their counseling. That's caused by TA's closes relationship with underachievement students through counseling and teaching at the same time.
In school life of T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IC and TA. Personal relation that TA recognized marked higher score than that of TIC.
Therefore, TIC recognize that TA have more close relation with other teachers since they help other teachers chores and have cooperative mind.
Third, based on TA's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ir solving problems based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Normally male TA don't have problems, and if they have, they solve by asking other teachers or their colleague while female TA mostly solve their problems by asking other teachers or colleagues and some of them just solve by themselves or just put aside them. TA can fully focus on teaching underachievement students only when their problems are solved. Since other teacher can't solve their work, new alternative should be given to solve the problems that female TA have.
Fourt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cognizing the plan for effective cooperation plan and actual cooperation between TIC and TA. Both TIC and TA mostly answered that the competence of council can be enhanced through autonomous manage between the two parties. The way to make TA participate in teaching isn to make them assist in class hours along with teaching in afterschool programs.
Effective and student-considered way to teach underachievement students can be possible when all subjects of education make efforts together. This study can be a suggestion to education office and schools how to utilize TA in teaching underachievement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역량에 대한 담당 교사 및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교직생활과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고 학교와 육청에서 인턴 강사의 역량과 적응 실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보조 인턴 강사가 학생을 이해하고 학교생활에서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한다는 인식은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으며, 연령이 올라갈수록 학습 보조 인턴 강사가 인간관계를 친밀하게 형성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학교에서 인턴 강사를 채용하여 활용하는 것에 해 담당 교사와 인턴 강사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학습 부진아를 지도하고 학습 보조를 하고 교사의 잡무를 도와주는 역할에 대하여 서로 좋은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 보조 인턴 강사 자신이 인식한 학생 이해의 평균 보다 담당 교사가 인식한 학생 이해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 담당 교사는 학습 보조 인턴 강사가 학생의 생활 지도를 잘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것은 학습 부진아에게 더욱 친밀하게 다가가 상담과 보정지도를 함께 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습 보조인턴 강사 자신이 인식한 인간관계에 대한 평균보다 담당 교사가 인식한 인간관계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담당 교사는 학습 보조 인턴 강사 자신보다도 학습 보조 인턴 강사가 다른 사들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배경 변인 별로 애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강사들은 문제점이 없거나, 있다면 동료 교사나 교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하지만, 여자 강사들은 주로 동료 교사나 학교 교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하고, 혼자 해결하거나, 그냥 넘어 간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학습 부진아 지도 및 업무 보조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자 인턴 강사의 애로점을 해결할 수 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학습 보조 인턴 강사와 담당 교사간의 협력 실태 및 효과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의회 역량은 담당 및 담임 교사와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자율적인 운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가장 많은 응답이 이루어졌다.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지도 참여 방법은 정규 수업 시간에 학습 보조 교사로 활동하면서 방과후 습 지도를 병행하자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왔다.
효과적이면서도 학생의 입장을 고려하는 학습 부진아 지도는 교육의 모든 주체가 함께 노력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 이 연구 결과가 앞으로 교육청과 학교에서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활용 및 학습 부진아 지도의 방향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조사 연구의 기저
1.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도입 배경
2. 학습 부진아의 개념
3. 학습 보조 인턴 강사의 교육적 역할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절차
3. 조사 도구
4. 자료 처리 방법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