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Job Satisfa

김종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eaching professio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tic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wear as follows :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were found to get higher in such order as hierarchical, external, administrative, oligarchical and overall thinking styl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m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Especially, the external thinking style and the administrative thinking style were commonly shown in the group of teachers,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and with the result of carefully examining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Besides, as teachers had more teaching careers an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they tended to have their own thinking styles more resolute, while using other various thinking styles, and more than the size of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was found to be a more important variab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eachers' teaching careers o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the stronger their individual thinking styles became, and their favorite thinking styles varied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dicates that teachers' adaptability is very important for the circumstantial demand from their teaching profession.
Second,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ir thinking styles toward the teaching profession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administrative thinking style in the functional category, the monarchal thinking style, hierarchical thinking style and anarchistic thinking style in the formal categor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ntire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It means that the administrative thinking style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resent school organization, and it will be another standard for people to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은 계층적, 외부적, 행정적, 과두적, 전체적 사고양식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외부적, 행정적 사고양식은 학교급을 불문하고 교사 집단에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가 직에 대한 교사의 사고양식에 관심을 갖고 파악한 결과, 선행연구와는 상반되게 행정적, 보수적 사고양식이 범주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라는 행정적 조직의 요구와 지침에 좀더 적합한 행정적 사고양식과 개혁에 대해 소극적이고 안정성을 추구하는 교직의 특성상, 보수적 사고양식을 보다 선호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해당 사고양식이 보다 확고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규모에 비해서 학급당 아동 수가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의 더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이 고정적이지 않고 교직 수행시 맡는 과제나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직의 상황적 요구에 따른 교사의 적응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은 전반적으로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직에 대해 행정적 사고양식을 가진 교사는 입법적, 사법적 사고양식을 지닌 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행정적 사고양식이 현재의 학교 조직에 좀 더 적합하다는 의미로 교직 선택에 있어서 하나의 준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Sternberg의 사고양식
  2. 초등교사의 사고양식
  3. 초등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처리 방법
 Ⅳ. 연구 결과
  1.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 특성
  2. 교직에 대한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득 Kim, Jong Deuk. 경북 유강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