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藏書閣 所藏 『赤裳山史庫實錄形止案』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Jeoksangsansagosillokhyeongjian in Jangseogak

장서각 소장 『적상산사고실록형지안』연구

김정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gosillokhyeongjian(史庫實錄形止案), a form of documentary culture derived from hyeongjian(形止案) and hyeongjigi(形止記) of Goryeo Dynasty, is a collection list that Chunchugwan(春秋館)’s historiographer receiving King’s order compared with list of past and checked inventory of present to preserve records of Sillok(實錄) etc. collected in History Archives[史庫]. And it is Chibuchaek(置簿冊) for management and utilization as well as report for performing his duties. Jeoksangsansago(赤裳山史庫) established in 1614(6th year of Gwanghaegun) started its function as History Archives when Seonjosillok (宣祖實錄) was enshrined in 1618. And it substituted for Myohyangsansago(妙香山史庫) when the records of Myohyangsansago was delivered in 1634(12th year of Injo). Before its records was delivered into Iwangjik(李王職) in 1910, for about 300 years Sagosillokhyeongjian was drawn up a hundred kinds and 96 kinds except 4 is being collected in Jangseogak(藏書閣).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and management of Jeoksangsansago focusing on Jeoksangsansagosillokhyeongjian(赤裳山史庫實錄形止案) as well as its constituting system and kinds. Jeoksangsansagosillokhyeongjian consisted of the beginning of book containing ‘reign name of China + colophon + month(date) + place of History Archives + purpose of opening History Archives’, the body of book recording a list of Sillok and other books collected in Jeoksangsansago, and the end of book describing a list of historiographers in charge. Analyzing the list of books through Jeoksangsansagojosahyeongjian(赤裳山史庫調査形止案) of 1910, it collected 55 kinds of Bible, 418 kinds of History, 68 kinds of Philosophers’ Text, and 151 kinds of Collections. All is 3266 books. The seal imprinted in hyeongjian is ‘Bongsajiin(奉使之印)’, ‘Sapumbongsajiin(四品奉使之印), and so on. Sillokhyeongjian of Jeoksangsansago can be classified into next according to purpose of opening History Archives; 4 kinds of drawing out[考出], 8 kinds of enshrining[奉安], one kind of examining[奉審], one kind of transferring[移安], 63 kinds of drying in the sun[曝曬], 6 kinds of drying in the sun when repairing Sillokgak(實錄閣), 8 kinds of drying in the sun after enshrining, 4 kinds of drying in the sun after drawing out, one kind of enshrining-drawing out-drying in the sun, one kind of enshrining-drawing out-repairing-drying in the sun, and one kind of drying in the sun-transferring.

한국어

『史庫實錄形止案』은 고려시대의 形止案과 形止記에서 파생된 기록문화의 한 형태로서 史庫에 소장되어 있는 실록 등의 자료를 보존하기 위하여 임금의 특명을 받은 중앙의 춘추관 소속 사관이 과거의 목록과 사고에 실재 보관되어 있는 자료를 비교하여 현 재고상태를 점검한 藏書의 書目으로, 開庫임무를 무사히 수행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공증서와 보고서의 성격을 갖는 동시에 차후의 관리와 활용을 위하여 작성한 置簿冊이라고 할 수 있다. 적상산사고는 광해군 6년(1614)에 건립되어 1618년 『선조대왕실록』을 봉안하면서부터 사고의 기능을 시작하였으며 인조 12년(1634)에 묘향산사고의 소장 자료를 모두 移安 받아 묘향산 사고를 대신하게 되었다. 1910년 李王職으로 자료가 옮겨지기까지 근 300여 년 동안 적상산사고형지안은 모두 100여 종이 작성되었으며 이 중 4종을 제외한 96종이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는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을 중심으로 적상산사고의 형성과정과 관리,『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의 구성체제와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적상산사고는 크게 ‘중국연호+干支+월(일)+史庫地名+開庫 목적’의 정보를 담고 있는 卷首와 사고에 소장되어 있는 실록과 서적들의 목록을 수록한 본문, 그리고 담당 史官의 座目을 적은 卷末로 구성되어 있다. 1910년의 『적상산사고 조사형지안』을 통해 서적의 목록을 분석한 결과 經部 55종, 史部 418종, 子部 68종, 集部 151종 3,266책이 소장되어 있었다. 형지안에는 ‘奉使之印’, ‘四品奉使之印’ 등 다양한 官印이 날인되어 있다. 적상산사고의 실록형지안은 開庫의 목적에 따라 考出 4종, 奉安 8종, 奉審 1종, 移安 1종, 曝曬 63종, 實錄閣修改時 포쇄 6종, 봉안후 포쇄 8종, 고출후 포쇄 4종, 봉안고출포쇄 1종, 봉안고출수개포쇄 1종, 포쇄이안 1종 등으로 그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形止案의 개념과 종류
  2.1 형지안의 개념
  2.2 형지안의 종류
 3. 赤裳山史庫의 형성과 관리
  3.1 赤裳山史庫의 형성과정
  3.2 赤裳山史庫의 관리
 4. 赤裳山史庫實錄形止案의 구성체제와 특징
  4.1 赤裳山史庫實錄形止案의 구성체제
  4.2 赤裳山史庫實錄形止案의 종류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정미 Kim, Joung-Mi.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