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CBT) for adolescent sex offenders which has been run in the Probation and Parole Service. The equality and survival functions of the treatment group(N=272) and the control group(N=29) were compared by conducting X2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all the demographic, criminal history-related, index offence-related, and victim-related variables with the only exception of the parents structure variable, indicating that the variables which had been expected to affect recidivism were indirectly controlled. In the subsequent survival analysis with an average of 49.06 months follow-up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recidivism rate of the control group was 57.4% higher in terms of violent offending, 56.0% higher in terms of sexual or violent offending, and 46.1% higher in terms of general offending than each recidivism rate of the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idivism rate for sexual offending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CBT for adolescent sex offenders, suggesting that there should be a need to explore factors associated with recidivism through further subsequent research with longer follow-up perio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소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에 있다. 전국 36개 보호관찰소에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치료집단(N=272)과 대조집단(N=29)의 동질성과 생존함수를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의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시행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은 부모형태 변인을 제외한 모든 인구사 회학적, 범죄경력 관련, 본건 성범죄 관련, 피해자 관련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결과변인인 재범률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이 간접적으로 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노출 기간(평균 49.04개월) 동안 두집단의 생존함수 비교에서, 성폭력 재범률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각각 폭력 재범률은 57.4%, 성폭력 또는 폭력 재범률은 56.0%, 일반 재범률은 46.1% 대조집단이 치료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폭력 청소년 가해자에게 실시한 인지 행동치료가 폭력, 성폭력 또는 폭력, 일반 재범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대상 성폭력 치료의 고유성이 인정되는 프로그램을 비교적장기간의 재범률을 추적하여 경험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가지며, 보다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통하여 재범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목차
I. 도입
1. 성범죄자 심리치료의 발전
2. 위험성-욕구-반응성 원칙과 효과성 평가
3. 성범죄자 치료 효과성 평가 방법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수집 방법
3. 분석 방법
4.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내용
Ⅲ. 연구 결과
1.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2. 결과변수
3. 재범유형별 생존함수 비교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