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of Space Use on Five-day Interval Farm Village Markets - Concentrated on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s in the East of Chonnam Province -
초록
영어
The conventional market has been the central place for circulation of goods in Farm Villages, as well as, the place where various goods, reasonable prices and interchange with culture and goods have pertained. The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s have been markets held outside once every five days and where farmers as consumers and suppliers form the markets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The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s are coming to a crisis of disappearance by decreased population in farm villages, low attraction of consumption with an aging society and spread of commercial shops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basis data for improvement in the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 system by analyzing of actual conditions of Space Use on Five-day Interval Farm Village Markets. Space and statistics analysis in 6 Five-day Interval Village markets in the east of Chonnam Province proceed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day Interval Farm Village Markets still have their own store and place form came from the glory days, but the number of commercial stores has shrunk away. Few street stalls are along the street between a road and a store inside markets in a line. Second, each kind of street stalls have its own size and the whole market is divied by zoning with category of business. Farmers selling vegetables, grain, or fishes occupy small space, and retailers selling household items, clothes, or general merchandise occupy bigger space relatively. Third, open stores are prefered rather than closed stores in the five-day interval markets where seasonal agricultural products and seafoods are sold mainly that are difficult to be maintained to be packed, standardized and equal qualities.
한국어
전통시장은 유통의 중심기능을 담당해온 공간이며 다양한 물건과 저렴한 가격, 볼거리와 교류의 장소 이었다. 농촌의 오일장은 5일 단위 순회 방식으로 개설되어 농민이 수요자이면서 공급자로서 장을 형성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장소였다. 이농에 따른 인구 감소와 농촌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구매력 감소,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상권 이탈 등은 오일장의 상권을 감소시켜 오일장이 역사속으로 살아져갈 위기에 있다. 본 연구는 오일장의 공간적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소도읍 경제의 중심인 오일장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목적에 두고 전남 동부지역 면단위 오일장을 6곳을 중심으로 오일장의 공간분석,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촌 오일장은 전성기 시절의 장옥과 장터를 갖추고 있지만 장세가 축소되어 도로와 장옥사이의 공간을 따라 행상위주의 선형 형태를 취하고 있다. 둘째, 업종 특성에 따라 매장의 크기가 다르며 동일 업종끼리 구역을 형성하여 오일장 전체로는 업종별 존닝이 되어있다. 오일장 전체로는 업종별 존닝이 형성되어 있다. 채소, 곡물, 어물과 같은 농수산물 직거래 행상은 좁은 면적을 생활용품, 의류 및 잡화와 같은 전문 상인이 다루는 품목은 넓은 면적을 사용한다. 셋째, 규격화, 포장화, 균질화 등이 어려운 계절적인 농수산물의 직거래가 주종을 이루는 오일장은 폐쇄형 장옥보다는 개방형 장옥에서 많은 활동이 일어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농촌 오일장
2.1 오일장 역할
2.2 오일장의 문제점
3. 조사대상 오일장의 특성
3.1 분석대상
3.2 일반적 특성
3.3 오일장 공간이용특성
4.판매시설특성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