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부재 크기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mber Size of Wooden Roof Tru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정훈철, 권순찬, 김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n sizes of members on wooden roof trusses of Modern Architectural Properties. The types of wooden roof trusses in this time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king post truss and queen post truss. The sizes of the principal rafter and tie beam of the king post roof truss are 150⨯210㎜ and 150⨯240㎜ each by the book "Western Architectural Design and Drafting(和洋建築設計製圖)" until 1920. The sizes of the principal rafter and tie beam of the king post roof truss are 120⨯150㎜ and 120⨯240㎜ each by the book "Early Pattern of Construction in Western Architectural Style(洋式建築構造雛形)" after 1920. The size of the king post is 120⨯120㎜ by the book "Early Pattern of Construction in Western Architectural Style" and 150⨯150㎜ by the book "Western Architectural Design and Drafting" before 1940. The size of the king post is 120⨯180㎜ afterwards. The member size of the queen post roof truss did not show a periodic feature like the king post roof truss. The sizes of the principal rafter, tie beam, and queen post are 180⨯210㎜, 180⨯300㎜, and 180⨯180㎜ each in office facilities by the book "Western Architectural Design and Drafting". The sizes of the principal rafter, tie beam, and queen post are 120⨯210㎜, 120⨯240㎜, and 120⨯180㎜ each in educational facilities by the book "Early Pattern of Construction in Western Architectural Style".

한국어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 55건 중 왕대공트러스 35건, 쌍대공트러스 20건을 대상으로, 각각의 부재들에 대하여 근대기 기술서상에서 나타난 부재의 크기와 기록화 조사보고서를 통해 조사된 부재의 크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왕대공 지붕트러스의 부재 크기인 폭과 높이에 있어서, 人자보와 평보는 1920년 이전 「(화양)건축설계제도」의 치수인 150☓210㎜와 150☓240㎜를 따르고, 이후 부재의 폭이 감소하면서 「양식건축구조추형」의 치수인 120☓150㎜와 120☓240㎜를 따르고 있다. 왕대공에서는 1940년대를 전후하여 이전에는 「(화양)건축설계제도」와 「양식건축구조추형」의 치수인 120☓120㎜와 150☓150㎜의 정방형 각재를 따르고, 이후에는 부재의 폭이 감소하면서 부재 치수 120☓180㎜ 전후의 직사각형 각재가 사용되었다. 빗대공과 달대공은 1940년 이전 왕대공과 유사하거나 작게 나타나고, 이후 「건축구조학」에서 제시하는 부재 크기인 60∼90☓120㎜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쌍대공 지붕트러스의 부재 크기는 왕대공 지붕트러스와 같이 시기적인 특징을 보이지 않고 용도에 따라 업무시설의 人자보, 평보, 쌍대공은 「(화양)건축설계제도」의 치수인 180☓210㎜와 180☓300㎜, 180☓180㎜를 따르고, 교육시설의 人자보, 평보, 쌍대공은 「양식건축구조추형」의 치수인 120☓210㎜, 120☓240㎜, 120☓180㎜를 따라 나타난다. 버팀대공, 빗대공, 달대공의 부재 크기는 다른 트러스의 주요부재와는 달리 보조하는 부재로서 주요부재에서 나타난 경향과 다르게 나타났고 주로 정방형에 가까운 각재가 사용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술서에 나타난 트러스의 부재 크기
  2.1 (화양)건축설계제도 ((和洋)建築設計製圖)
  2.2 양식건축구조추형 (洋式建築構造雛形)
  2.3 건축구조학(建築構造學)
 3. 왕대공 지붕트러스의 부재 크기
  3.1 人자보
  3.2 평보
  3.3 왕대공
  3.4 빗대공과 달대공
 4. 쌍대공 지붕트러스의 부재 크기
  4.1 人자보
  4.2 평보
  4.3 쌍대공과 상부 왕대공
  4.4 빗대공, 버팀대공과 달대공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훈철 Jung, Hoon-Chul.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 권순찬 Kwon, Soon-Chan. 청주대학교 대학원 BK21 Post. Doc.
  • 김태영 Kim, Tai-Young. 청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