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울산지역 사업장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 잠재량 평가

원문정보

Energy Recovery Potential of Industrial Waste Generated from Ulsan Industrial Complexes

김경호, 김형우, 박흥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energy recovery potential of wastes generated from Ulsan industrial complexes of South Korea was evalua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 strategic plan of optimal utilization of the wastes. Wastes generated from the industrial complexes and their disposal status were reviewed using data from 2006-2009. The energy potential of the wastes was estimated from their calorific value and methane production potential. As of 2009, the total energy potential of the wastes was 94,378 toe whereas energy unrecovered though various waste disposal options such as incineration, landfill and ocean dumping was 41,403 toe. It was estimated that 31,000 ton of industrial waste-derived fuels (IWDF) having a calorific value of 7,500 kcal/ kg or 55,035 ton of IWDF containing a calorific value of 4,500 kcal/kg can be recovered from unrecovered waste disposal. The results showed that anaerobic digestion of sludge could be resulted in an energy recovery of 34,240 toe. In addition, 92,312 ton of IWDF (4,900 kcal/kg) could be produced when sludge was dried by using unused surplus heat. The wasteto- energy conversion strategies for sludge (incineration or anaerobic digestion) need a careful consideration of its generated amount and moisture content and the availability of unused surplus heat for moisture removal.

한국어

본 연구는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사업장 폐기물을 에너지로 최적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울산국가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사업장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잠재량을 평가한 것이다. 폐기물 관리 현황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울산 산업단지 내 개별기업체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에너지 잠재량 및 회수 가능량은 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 폐기물별 발열량 및 슬러지의 메탄생성능 등 에너지원단위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2009년을 기준으로 울산지역 사업장 폐기물의 에너지 잠재량은 94,378 toe로 나타났으며, 소각 에너지 미회수(시멘트 킬른 처리량 포함)와 매립, 해양투기 되는 폐기물에서 회수 가능한 에너지 잠재량은 41,403 toe로 나타났다. 이 폐기물들을 이용하여 7,500 kcal/kg의 재생연료는 31,000 톤, 4,500 kcal/kg의 연료는 55,035 톤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잉여열 등을 활용하여 오니류를 건조할 경우 재생연료 92,312톤(4,900 kcal/kg)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분 함량이 높은 오니류의 경우, 혐기성 소화를 통해 회수 가능한 에너지 잠재량은 25,908 toe로 나타났다. 따라서, 슬러지의 에너지화는 잉여열의 유무, 슬러지의 수분함량 및 처리량 등을 고려하여 재생연료 생산이나 메탄 에너지 회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대상 산업단지
  2. 대상 폐기물
  3. 에너지 잠재량 평가
  4. 연료등급별 재생연료 생산 가능량
 III. 결과
  1. 폐기물의 발생현황
  2. 폐기물의 처리현황
  3. 전체 에너지 잠재량
  4. 에너지 회수 잠재량
  5. 연료등급별 생산가능한 재생연료량
 IV.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호 Kyeong-Ho Kim.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형우 Hyeong-Woo Kim.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박흥석 Hung-Suck Park.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