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룬 파로키의 <딥 플레이>와 영화적 장치의 새로운 정치학

원문정보

New Politics of the Cinematic Apparatus in Harun Farocki’s Deep Play

서현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run Farocki’s 12-screen installation piece Deep Play(2007) shows more than the final match of FIFA World Cup Games 2006 that it depicts. Incorporating various images as found footage-except for image in and around the stadium during the game that Farocki himself shot, Farocki reflects upon the omnipresence of digital tools and proposes a distant, critical perspective on today’s media environment. While the artistic intervention or creation in the construction of images remains minimal, Farocki’s assemblage makes visible the ubiquitous digital apparatus that record, analyze, broadcast, and reconfigure the event. Farocki’s “artistic” vision departs from the creative signature hailed in auteurism in order to render the artistic process as well as the spectators’ sensory experience inseparable parts of the operation of the dominant digital apparatus. Using Jean-Louis Baudry’s concept of the cinematic apparatu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rajectories of the conventional concept are expanding in the digital age and how Farocki questions the ways in which such expansion takes place. As an meta-cinematic as well as post-cinematic project, Deep Play ultimately offers a “deep” critical view on the sociological dimensions of artistic practices as well as on the power of digital technology as a sensory device.

한국어

하룬 파로키의 다채널 영상설치 작품 <딥 플레이(Deep Play)>(2007)는 영화학에서의 매체에 대한 성찰을 확장하여 영화 이미지가 작동하는 공간적, 사회담론적, 정치적 맥락에 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2006 FIFA 월드컵 결승전 경기에 관한 12개의 화면이 갤러리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전체적인 조형적 구성이나 작가적 시그니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영상 이미지가 어떻게 하나의 미디어 이벤트를 구성하고 이미지 소비를 위한 다층적인 공간의 설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재고를 유도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영화를 ‘매체(medium)’로 접근하고 다루는 모더니즘적 성찰로부터 벗어나 넓은 범위에서의 ‘장치(apparatus)’로 인식하는 태도를 반영하는 것이며, 영화를 사회적 ‘장치’로 인식할 때 작품은 평면적 이미지로 머물지 않고 제작과 유통, 소비 과정에 대한 비평적 사유를 촉진하게 된다. 파로키의 이러한 태도는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ére)가 구체화하는 예술의 정치적 기능에 상응하는 것으로, 사회적 관계와 이미지 소비의 정치적 차원들을 가시화시키고 이에 대한 성찰을 관객이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로써 파로키는 정치적 행동을 구현하기 위한 선동적 도구로서 예술을 활용하는 기존의 정치 예술 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나, 관객 나름대로 자신만의 비평적 태도를 추진하도록 하는 유기적이고 개방적인 소통을 취한다. 메타-시네마로서의 <딥 플레이>는 오늘날 감각적 체험에 개입되는 사회 정치적 장치에 대해 첨예한 정치적 태도를 가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 아니라, ‘예술 행위’와 ‘예술 체험’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사유가 곧 예술 행위 및 체험의 일부가 되어야 함을 수행적으로 피력한다. 조형적 완성도나 구성적 견고함을 최선의 미학적 경지로 설정하지 않고 여러 장치들을 감지하는 인지력과 해석력의 창출을 관객에게 이양하는 파로키의 태도는 정치와 예술의 기능을 서로에 대한 유기적 관계를 통해 재조직하는 진취적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1-1. 미술관의 미디어이벤트
  1-2. 메타영화로서의 <딥 플레이>
 2. <딥 플레이>의 장치적 기능
  2-1. 영화 매체에 대한 성찰의 역사적 맥락
  2-2. 영화 장치론의 두 가지 역사
  2-3. 파로키와 영화적 장치의 확장
 3. <딥 플레이>의 정치적 기능
  3-1. 영화적 장치에 대한 성찰
  3-2. 아티스트의 역할에 대한 성찰
  3-3. 관객의 재구성
 4. 결론을 유보하는 질문들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서현석 Seo, Hyun-suk.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