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완판 <춘향전>과 <춘향가>의 서두 비교

원문정보

The Comparison of two prologues in the Jeonju Edition of <Chunhyang-jeon> and the <Chunhyang-ga>

임성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the Pansori to be sung could be affected by the literary text of , the later form of novel. If it is true, we must re-examine all the studies performed until now, because all the present studies exclude the influential possibilities of the literary text of . The several versions of the to be sung nowadays is partly based on the literal version of the Jeonju Edition of . We can notice this fact through both the prologues of two versions, Chang-Jaebak and Park-Bongsool. In the beginning the literal version of the Pansori, the novel had been written from the singing version to be sung, but later the singing version of Pansori was transformed by the literal version of

한국어

이 글은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관계를 재정립하기 위해서 판소리가 소설이라는 문자 텍스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러한 시각에서 판소리 연구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려고 했다. 판소리 연구가 문자 텍스트의 영향을 배제하는 순간 판소리 연구는 왜곡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기존 판소리 연구를 반성하자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오늘날 가창되고 있는 여러 창자들의 <춘향가>에는 문자 텍스트라 할 수 있는 완판 <춘향전>의 영향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이 글에서 다룬 <춘향가>의 서두부만 하더라도 완판 <춘향전>의 내용을 일부 수용하여 그 나름의 사설로 정착시킨 부분이 장재백본과 박봉술본에 보이고 있다. 또한 많은 창자들이 <춘향가>의 서두로 활용하고 있는 대목도 구비문학 특유의 도제전승에 의해 오랫동안 전승되어 내려왔다기보다는 몇몇 창자가 신재효의 남창 <춘향가>의 텍스트를 활용해서 자신의 사설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 불리고 있는 <춘향가>의 일부 대목은 판소리 창자에 의한 기존 문자 텍스트의 수용일 가능성이 있다. 바꿔 말하면 판소리 발생 초기에는 판소리에서 판소리계 소설로의 이행이 일어날 수 있었겠지만 후대에 이르러는 오히려 판소리가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문자 텍스트를 활용하여 그 나름의 변모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완판 <춘향전>이 <춘향가>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리라는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완판 <춘향전> 서두의 비교
 3. <춘향가>의 서두 비교
 4. 완판 <춘향전>과 <춘향가>의 비교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성래 Im, Song-lai.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