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小樂府 제작 동기에 보이는 국문시가관

원문정보

The Viewpoints on Korean Song Viewed at the Compositions of Korean SOACKBOO(小樂府)

윤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studied the process of Korean SOACKBOO(小樂府) mode’s formation. SOACKBOO(小樂府) is the Chinese mode of poetry transformed from the folk songs. It usually deals with love affairs, and is called as the little piece of music(小曲). In Korea it has some poets, and they lived in the turning periods of the dinasties’ late time. At these periods they had the crisis consiousnesses about the identities of their nations and they also had the prouds of their nation’s own cultures. As seen in the example of Lee Jae-Hyun(李齊賢), patriotic politician and sincere poet at the colonial age of Won empire, the poet chose the most popular folk songs and translated them in the quatrians with chinese seven characters in each line. Those quatrians had the both-sided meaning, one universal, and the other individual. The universal meaning was that the poet seeked the same mode as the Chinese poets, and the individual meaning was that those folk songs selected by him were different from Chinese folk songs. Those Korean folk songs had the trends of inclining towards the inward sorrow arisen from departure between lovers. The degree of depth in the inwardness seeking the admiration for the losing love in Korean folk songs was higher than the Chinese folk songs. It was the Koean character, and Lee caught it as he composed the Korean SOACKBOO(小樂府). The Korean SOACKBOO(小樂府) had endured in the late period of the Korea dinasty, and it’s reappearance was seen at the late period of the Chosen dinasty. Shin Wee(申緯), the famous poet and calligrapher chose the most popular folk songs in his age and tranlated them in the same mode as Lee Jae-Hyun’s SOACKBOO(小樂府). But the folk songs selected by him was different from Lees’. In 19th centuries, people enjoyed the mode of song called SIJO(時調), three lined poem sung on the certain musial score. Shin Wee had the capability of discrimination in the SIJO singing and he reflected this capability on the composition of SOACKBOO(小樂府). His inclination towards some themes in that composition showed this reflection. One was the love affair. The admiration for the complete love affair dominated the minds of late Chosen dinasty’s people, and most of songs were played with that theme. The other was the pleasure of drinking, which was related with the love affair. One drinks without the concerning about outer worlds, denies the general values. His hope of constant drunken state means the denial of the awaken real world. The losing state in love affair and the hope of not awaken state’s duration in Shin Wee’s SOACKBOO(小樂府) works was saying about the poet’s attitude about the world. He was not satisfied with the condition of life in his time, and he hoped the another world which would satisfied him.

한국어

小樂府의 명의는 “絶句적 小詩의 악부” 에 요약되어있다. 小詩는 小曲이라고도 하는데 大曲에 대한 대칭으로 쓰였다. 이 글에서는 자국 고유 문화에 대한 애긍심이 동기가 되면서 중국의 형식을 본뜨는 가운데 독창적인 양식 개발을 성취한 역대 소악부의 성립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고려말의 益齋 李齊賢 이후 잠복해 있던 소악부 제작이 재기하는 것은 19세기의 紫霞 申緯에 이르러서였다. 윗대로 올라 갈수록 자료가 빈한해지기 때문에 맥락을 잇는 한도에서 19세기 申緯 당대의 풍부한 자료를 소급 적용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하나의 소악부 문학사를 재구하는 가운데 소악부 제작에 담긴 국문시가에 대한 견해를 포착하려고 하였다. 風과 雅, 變과 正의 구별을 기반으로 하는 시가관은 조선 후기 사대부들이 우리 시가의 위상을 판정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사대부들이 지향한 세계는 雅正을 위주로 하였지만, 變風을 인정하는 여유 속에서 우리 시가의 존립 공간이 확보될 수 있었다. 益齋는 민심의 기미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소악부를 택하였고, 紫霞는 후대에 전하여질 수 있는 詞曲의 온전한 상태를 보존하기 위하여 소악부를 제작하였다지만, 橘山 李裕元에 이르러서는 빠르게 변하여 가는 가악 풍토 가운데 소악부의 본령을 재인식하는 방안으로서 선배들을 모의한 것으로 읽힌다. 우리나라의 소악부는 태생을 역사 격변기에 대고 있기 때문에 그 가운데 자기 정체성 모색으로서의 역사의식이 들어가기 마련이었다. 국가의 정체가 바뀔 정도의 변화에 대한 예민한 감성을 담지하는 문학양식은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사회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표기 수단이나 주제 수용에 있어서 집단의 경계를 뛰어넘는 방안을 지녀야만 하였다. 소악부가 울리고자 하는 공감대는 사회에 널리 전파된 노래를 대상으로 하면서 작자층의 사유를 지배하는 한문 영역을 탈피하여 구어전승의 세계와 화해를 모색하면서 이루어졌다. 애정과 취락은 雅正 위주의 세계에서는 수용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조선 후기로 넘어가면서 점차 소악부 주제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이는 날로 달라져 가는 당대 가악 풍토의 반영이기도 하였다. 또한, 익재의 후배들에 대한 소악부 제작 독려의 동기가 교화의 관념이 아니라 개별 대상의 구체성에 바탕한 감성적 동화이었음은 자하에 이르기까지 소악부 발전사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대한 의미를 지닌 사실이다. 민속과 민요에 바탕함이 소악부의 본령이기도 하지만, 백성들의 참상에 동정하거나, 그들의 취향에 동조하는 한국 소악부의 전통은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합쳐져서 중국과는 다른 고유의 양식 개발을 달성하였다. 이 논문은 소악부 양식 전변의 계기에 작용하는 주체적 대응의 양상을 밝혀서 한국 문화의 독자적인 존립 방식에까지 생각을 뻗어 보려고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소악부의 본령과 한국 소악부의 성격
 2. 역대 소악부 제작 동기의 맥락
  2.1.「益齋小樂府」의 제작 동기 재탐
  2.2.「紫霞 小樂府」의 제작 동기를 통하여 본 소악부 발전의 통서
 3. 한국 소악부 제작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덕진 Yoon, Dug-jin. 연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