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회 발표논문

현행 과징금 제도의 주요 쟁점과 그 해결방안

원문정보

Administrative Surcharge as Remedy for Antitrust Violation: Debatable Issues and Suggestions

김남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past three decades,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has served a key role as the most common remedy for antitrust violation in Korea to bring justice into the market. By contrast, two other possible remedies have rarely been triggered. Criminal charge has not been frequently brought because of administrative abstention of criminally penalizing firms and their employees. Private civil damage suit has not been often filed due to various procedural obstacles and less incentives for plaintiffs relative to the American civil procedure system. Unlike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of Japanese Anti-Monopoly Law or the administrative fine of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infused into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s generally interpreted as a two-sided sword – retribution and deterrence; and recovery of monopoly profits. Such dual features of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may potentially raise a few issues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easible remedies, public criminal enforcement and private enforcement. First, the double jeopardy may still be attached because administrative surcharge may be deemed criminal sanction when levied with criminal fine or imprisonment for the purpose of retribution and deterrence to correct public error, not private error. Second, duplicative recoveries may be an issue when private action successfully recovers damages after the perpetrator has already disgorged illegal monopoly profits through administrative surcharge. Lastly, no legitimate justification have well been constructed for why administrative surcharge may go into the government pocket notwithstanding that monopoly profits are taken from the victims.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d these three debatable issues and attempted to settle them, presuming that administrative surcharge has the dual features as commonly translated. It concluded that the administrative surcharge system would be still capable of surviving these problematic situations by the suggested tweaks.

한국어

과징금제도는 지난 30년 간 상대적으로 다른 제재수단에 비해서 가장 중요하고 일반적인 역할을 해 왔다. 물론, 독점규제법 위반행위에 대해서 법은 형벌과 함께 사적 손해배상이 가능하도록 허락하고 있으나 독점규제법 위반 사건이 형사 처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적 손해배상도 여러 가지 절차적 제약과 소제기 유인의 부족으로 인해서 그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 과징금은 일본이나 유럽공동체의 유사한 제도의 일관적인 법적 성격과 달리 일반적으로 ‘부당이득반환’과 ‘제재금’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설명되어 진다. 이러한 법적 성격은 형벌이나 사적 손해배상과 관련하여 몇 가지 쟁점을 발생시킨다고 생각한다. 첫째, 형사적 쟁점으로서 형벌 규정과 관련하여 적법절차의 원리로서 이중처벌금지와의 충돌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둘째, 민사적 쟁점으로서 사적 손해배상과 관련하여 이중배상 혹은 중복적 배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행정적 쟁점으로서 과징금의 ‘부당이득환수’의 성격을 고려할 경우 피해자의 보상에 반영되지 못하고, 국고로 환수되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과징금의 이중적 성격과 관련하여 논의될 수 있는 이러한 쟁점들을 차례대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현행 과징금제도는 이 논문의 제안이 수용될 수 있다면 효과적인 제도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과징금의 법적 성격
 Ⅲ. 과징금과 관련한 주요 쟁점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우 Kim, Nam Woo.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전문연구원. 법학박사(S.J.D.), 미국변호사(Member of North Carolina Ba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