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작관찰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조진우, 방요순, 방주희, 손보영, 이문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s that a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purposeful activity task related to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of a chronic stroke patient. Methods : 13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observed performance actions of purposeful activity task through a video and imitated actions repeatedly, and a control group conducted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raining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and 30 minutes for each round for 3 weeks.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and Grip strength test and Prehension test were performed for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evaluation. Results : After the training,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of the targe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especially a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grip strength and lateral pinch of a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p<.05). Conclusion : Action observation through a video lead a positive effect of recovering a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than a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 of practicing the same action intensively and repeated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s one strategy of an intervention typ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동작관찰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목적 있는 활동 과제와 관련된 상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3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동영상을 통해 목적 있는 활동 과제의 수행 동작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 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과 장악력 및 파악력을 시행하였고, 각 군의 전후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과 두 군 간의 비교는 맨 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상지 운동기능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험군은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실험군의 장악력과 외측집기는 훈련 후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동영상을 통한 동작관찰은 같은 동작을 집중적이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전통적인 작업치료 접근보다 상지 운동기능 회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주었다. 따라서 동작관찰 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상지 운동기능
  3. 대상자의 장악력 및 파악력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진우 Jo, Jin-Woo. 광주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 방요순 Bang, Yo-Soon.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방주희 Bang, Ju-Hee. 광주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 손보영 Son, Bo-Young. 광주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 이문규 Lee, Moon-Kyu. 광주 씨티재활의학과 요양병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