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Creativ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초록
영어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sychomotricity o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Wilcoxon's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s language and physical creativity resulted in pre and post assessments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sychomotricity on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magination) resulted in pre and post assessments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Drawing from such conclusions, it can be stated that Psychomotricity is effective on development and retention of creativity, and can easily be utilized in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s. Its game-like approach to raise curiosity and active movement can effectively facilitate in improving creativity. Psychomotricity can be systematically researched based on the appropriate level and desire of intellectually disabled and other handicapped children to be suggest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developing and increasing creativi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지능만으로 한계 짓지 않고, 창의성이란 지적 장애 아동에게도 개발될 수 있는 잠재능력으로 인식하며, 창의성 향상을 위해 고안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창의성에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OO시 위치한 A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지적장애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운동의 효과성을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검증한 결과,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 창의성과 신체 창의성뿐만 아니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도 심리운동을 통해 창의성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며, 놀이의 유희성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능동적인 활동을 유도하여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심리운동은 지적장애 아동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아동의 수준과 욕구에 적합한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용어 정의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연구 설계 및 절차
5. 자료처리
Ⅲ. 연구 결과
1.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아동 창의성(언어 창의성, 신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 심리운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창의성(구성요인별)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