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크릴계 보존처리제를 이용한 사암의 가압함침 보존처리

원문정보

Conservation Treatment of Sand Stone by Pressurized Impregnation with Acrylic Materials

김연철, 김사덕, 김형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pressurized impregnation treatment, which has been proposed as an effective conservation method for stone cultural property, was executed with methyl metacrylate (MMA), MMA-butyl acrylate (PMB73) mixture and MMA-vinyl trimethoxy silane (PMV5) co-monomer mixture, the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on the sand stone and the granite impregnated were evaluated. Compared to the case of granite, the impregnation ratios of sand stone showed larger values in the range of 3.2 to 3.7 wt% and these were increased up to 32% when the decompression process was applied to autocla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sand stone such as anti- moisture property, flexural strength, impact property and ultrasonic velocity were also higher values than those of granite, which can be interpreted by high impregnation ratio resulted in many void within sand stone. The impact failure energy was 1.22 J for PMMA, 1.84 J for PMB73, and 2.8 J for PMV5, respectively. Since the inorganic affinity of treatment agent is more effective than the molecular structure of acrylic agent, PMV5 improved inorganic property indicates the optimum impact property.

한국어

석조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효과적인 처리 방법으로 제안되는 가압 함침 방법으로 methyl methacrylate (MMA), MMA-butyl acrylate (PMB73) 공조성물 및 MMA-vinyl trimethoxy silane (PMV5) 공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암 및 화강암에 함침 처리한 후 물리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화강암과 비교하여 사암의 경우 함침율이 3.2 - 3.7 wt%로 높은 값을 보였고 고압 반응기 내에 감압 공정 도입 시 32%의 함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물리화학적 특성인 발수성, 휨강도, 충격특성 및 초음파 속도 등도 화강암보다 사암에 대해 아크릴계 가압함침 처리제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사암의 공극이 많아 단량체 함침율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아크릴계 처리제별 사암에 대한 충격파괴 에너지는 PMMA의 경우 1.22 J, PMB73은 1.84 J, 그리고 PMV5의 경우 2.8 J을 나타내었다. 충격 특성에서 무기 특성을 개선한 PMV5가 최적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크릴계 처리제의 분자 구조보다는 처리제의 무기 친화 특성이 석재의 충격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실험재료
  2.2. 실험방법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함침율 및 내부 함침 확인
  3.2. 함침시편의 물리화학적 특성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철 Youn Cheol Kim.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사덕 Sa Duk Kim. 국립문화재연구소
  • 김형중 Hyung Joong Kim.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