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원문정보

A Critical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Theories

황갑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chools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scheme on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discussed the essential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Second,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policies and the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ed the alternative scheme for the new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ulticultural education is treated as a part of the civic education in school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affirm democratic principles, to accept the cultural diversities, and to abolish the discrimination among ethnic groups in the nation. B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s focused on the problems of students from th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That is the education for their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The students of immigration labor families and the immigrant families from North Korea are excluded from the target group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 new ty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quired for immigrant?students and all student groups in Korea to have them acquir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s and new global citizenship for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발달에 대비해 학교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분석코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이론을 제시한 학자들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의 중심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성, 다문화교육 정책,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한국 다문화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 정책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의 미비,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에 편중된 교육 지원, 한국어와 문화교육에의 지나친 편중, 부모의 모국 언어와 문화의 교육 부족, 교육대상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미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의 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다문화교육이론에 입각하여 다문화교육을 학교개혁운동의 차원에서 보면,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국제결혼 자녀 중심의 학교와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으로, 다문화교육이론과 거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 다문화교육은 대상을 새터민, 이주노동자 자녀, 일반 학생들로 확대해야 하며, 이들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어와 한국문화 중심 교육에서 탈피하여 다문화 역량을 갖출 수 있는 다문화 가치 및 태도 형성 교육과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다문화교육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다문화교육에 적합한 민주적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II. 다문화교육 이론과 다문화교육 내용
  1.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이론
  2. 차이와 차별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내용
 III.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1. 한국 다문화사회 특성과 다문화교육 정책
  2. 한국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갑진 Hwang, Kap Jin. 경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