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토론(debate) 수업의 실제와 과제

원문정보

Debate Methods in the Social Studies: Implementations and Suggestions

하윤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ed to examine if a debating lesson could be appropriately implemen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accomplished proposed educational goal by engaging in debating. We often misunderstand the concept of debates as a kind of free-discussion. The reason is that nowadays a normal teaching process has a relatively great importance when compared to a feature of the debate during classroom lesson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ebate with one topic can make learners to have a specific and obvious decision by selecting pros or cons. The debates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an important ability by having students engaging in activities making arguments, taking positions, supporting those positions and reaching an agreement. For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introduce a debate lesson in class in a way that students can not only experience general procedure but also produce fruitful result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토론수업에서 본래의 토론(debate)수업이 가진 교육적 의미가 잘 전달되어 의도한 바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디베이트가 지닌 속성과 수업이 지닌 속성이 뒤섞여 디베이트가 지닌 속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단순한 자유토론방식 수업으로 전락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디베이트 수업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하나의 주제에 대한 찬반의 입장을 선택하게 하고 구체화된 절차에 따라 토론을 진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을 단순히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각각의 변론과 반대신문을 해보고 논점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까지 경험함으로써 과정적 절차의 숙지는 물론 합의형성능력 신장까지 도출해 내야 한다. 요컨대, 디베이트는 단순한 과정적 절차에만 머무르지 않고 결과적 지향성까지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수업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문제의 소재
 II. 디베이트의 기본적 논리
  1. 자유토론과 디베이트
  2. 반론의 중요성
  3. 반론의 평가
  4. 대립에 의한 협조
 III. 토론수업의 방법주의로의 전환
  1. 논의와 데이터의 중요성
  2. 방법주의 사회과
  3. 디베이트로서 학습자 전원참여
  4. 신념과 주장을 단련시키는 방법
 IV. 사회과 디베이트 수업구성과 실제
  1. 사회과 디베이트 수업구성
  2. 사회과 디베이트 수업실제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하윤수 Ha, Yun-Su. 부산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