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무원의 심리적 계약의 내용과 특성 :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분석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Contract Contents and Featur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정윤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sychological contract is individual beliefs about reciprocal obligation between the employee and his or herr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psychological contract affects the employee's attitudes and behavior, and this theory is quite a complex motivation theory. Psychological contract comprises two types: transactional and relational contract. Transactional contract is concerned with economic transaction and extrinsic compensation whereas relational contract involves socio-emotional , intrinsic, and personal exchange. The other point of this article is whether the motivational factor of employees are similar to each other's or not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organ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and employees' behaviors(i.e., altruistic behavior and in-role performance). Data were obtained from 293 fire fighters and 251 employees of private enterprise in Korea. The result suggested that transac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is not related to altruistic behavior and in-role performance. But rel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outcome variable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ifference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organization is found only in rel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Limitation of the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한국어

현재 공공조직에는 업무의 효율성의 제고한다는 명분으로 민간기업의 다양한 경영기법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는 구성원에 대한 동기부여 방법의 하나로 성과평가에 의한 금전적인 인센티브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기법의 적실성과 관련해서는 심리적 계약과 공공·민간부문의 동기요인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심리적 계약이란 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갖는 의무감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과 그 의무의 대가로 그 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어떤 권리를 갖고 있다는 믿음을 말한다. 만일 조직이 제공하는 혜택이 구성원이 주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구성원은 조직이 제공해야 할 의무라고 생각하던 사항이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지각은 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나 행동을 유발하게 만들 것이므로 조직은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계약의 내용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심리적 계약은 크게 주로 단기적이고 물질적인 보상을 그 내용으로 하는 거래적인 심리계약과 장기적이면서 구성원의 사회적 욕구와 자존심과 관련이 잇는 관계적인 심리계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심리적 계약의 충족이 구성원의 역할내 성과와 이타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업조직은 외재적인 보상을 선호하고 공공조직은 내재적 보상을 선호한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거래적 및 관계적인 심리계약의 충족이 역할내 성과와 이타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소방공무원 293명과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회사원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거래적인 심리계약의 충족은 역할내 성과와 이타적 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관계적인 심리계약의 충족은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적인 심리적 계약과 결과변수의 관계에서 공공부문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부문에서는 관계적인 심리계약이 많이 충족되었다고 지각할수록 역할내 성과와 이타적 행동이 기업조직보다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와 실무적인 함의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심리적 계약의 개념 및 유형
  2. 심리적 계약충족과 역할내 성과 및 이타적 행동
  3. 조직형태(sector)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Ⅳ. 분석결과
  1.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2. 가설의 검증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윤길 Jung, Yun-Gil. 동국대학교 사회대학 행정학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