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건축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기술적 표현 유형 및 특성

원문정보

Technic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Digital Architecture

류호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big change had been made in architectural shapes and materials mainly due to the usage of digital technologies as creative working tools, new possibilities of architectural materials and those fabrication process in digital architecture have been sought. As function -oriented design concept shifted to the sensuous and expressive concerns, digital technologies are mainly used to enhance the expressive characters of materials. Thus, this study was focused to analyze technic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digital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By adapting digital device and technology aggressively, architectural materiality tends to be more dematerialized, and unprecedented level of intricate details of material finishes leads to more sensuous experience. 2) Digital image manipulation systems and engraving technology and digital perforation technology are used to produce new interpretation of materials such as dematerialization by denying conventional image of materials. 3) the limitation of two-dimensional material expression is overcome by combining cutting-edge three–dimensional digital fabrication technologies showing intricate constructional skills.

한국어

세기말부터 디지털 기술이 창조적 작업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건축 형태와 함께 재료적 표현에 큰 변화가 시작된 후, 디지털 건축은 건축 재료와 생산 과정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능 중심의 디자인 개념에서 보다 감각적이고 표현적인 경향을 띄기 시작했고, 그 중심에는 혁신적인 디지털 가공기술에 의한 건축 재료의 표현력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디지털 건축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표현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가공기술이 적극적으로 적용되면서 재료의 물성적 표현은 표면을 통해 비물질화되며, 미시적 패턴을 보여주는 표면의 질감은 감각적 경험을 유도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평면적인 표현은 디지털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방법과 디지털 타공 방법 등을 사용하여 재료의 표면을 이미지화시키거나 비물질화시킴으로써 재료의 전통적 해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셋째, 평면적 표현의 한계는 점차 반입체화 또는 입체화된 구성으로 발전하는데, 이 과정 역시 재료의 전통적 물성을 모호하게 하고 구축기술적 표현을 적극적으로 발현시킴으로써 참신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재료 표현의 시대적 변화
  2.1 재료 표현의 건축역사적 시각 변화
  2.2 디지털 시대의 재료적 물성
 3. 디지털 건축에서의 재료
  3.1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재료
  3.2 구축기술에 따른 재료
  3.3 표현수단으로서의 재료
 4. 디지털 건축 재료의 표현 유형별 특성
  4.1 평면적 표현
  4.2 반입체적 표현
  4.3 입체화된 텍스쳐라이징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호창 Lyu Ho-Chang.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