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누아즈리(Chinoiserie)의 모티브가 지닌 미적 형식과 재현요소

원문정보

The Esthetic Form and the Representation Element of the motif of Chinoiserie

김연화, 한석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lement of representation for the motif whi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ing shown in artworks on the area of ceramic art, and to reinterpret the artistic and esthetic value after establishing concepts for the pattern and esthetic form of chinoiserie and the concept of formativeness. As the study methods, the correlating mechanism and esthetic value between the conceptual formative element and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patterns are analyzed. Identification of meaning of recurring elements and its norm, confirmation of the esthetic influence and verification of the source for appearance of elemental motif centralized on porcelain was carried out to acquire meaning of crossed chinism and chinoiserie. The chinoiserie motif shown in European Chinism showed chinoiserie preference in Baroque, and had taken a role in formation of new pattern by infusing (Rococo) pattern, thus signifying its possibility as tool for satisfying neo-estheticism. Exotic ideas and thoughts including stories and contents based on Taosim, confucianism and Shamanism in was expressed by balancing realistic and fictional elements and thereby characterized geometric formativeness of Europe. Chinoiserie motif in modern porcelain figure is confirmed to be originated from metaphysical and physical emotionally like Chinese view of nature, custom and thoughts. The chinoiserie of Europe has the value of flowing in possibility as a tool of creating esthetic sense for new modern forming and recognizing the unity and balance which are the result of combining oriental/western motif with western forming style.

한국어

본 연구는 시누아즈리(chinoiserie)의 양식적, 미학적 형식과 조형성에 대한 개념생성과 함께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조형 특성을 중심으로 한 모티브의 재현요소가 지닌 도자 조형 예술 분야에의 영향을 분석하고 예술적, 미학적인 가치를 재해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개념적 구성요소와 양식적 조형특성간의 영향구조와 미적형식을 분석하고, 재현요소의 의미발견, 규범(Norm) 확인 및 예술적 영향의 사실 확인과 도자기를 중심으로 하는 조형 모티브 재현에 따른 근원을 확인하고, 차이니즘과 시누아즈리(chinoiserie)조형성의 의미를 체득하였다. 연구결과, 유럽에서 나타난 Chinism의 시누아즈리 모티브는 시누아즈리 취향의 바로크, 로코코 양식이 결합된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이는 새로운 미감 충족의 도구로서 그 가능성을 유인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국적인 사고와 사상 즉 도가적, 유가적, 샤먼적 이야기와 컨텐츠로 구성되어 있고 유럽은 형식적 가공적 조화감을 중시하는 기하학적 조형성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근대 도자기 조형에서의 시누아즈리양식의 주요 모티브는 중국인의 자연관 및 관습·사유와 같은 형이상학적, 형이하학적, 정서성에 기인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또한 유럽의 시누아즈리는 그 모티브가 동·서양적이며 서구적인 조형 형식이 융합된 통일과 조화를 인식하는 활동에서부터 새로운 근대조형의 미감 창출의 도구로서 가능성을 유입하는 가치를 함께 지닌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시누아즈리의 개념 생성과 조형특성
  2-1. 차이니즘(Chinism)과 시누아즈리(Chinoiserie)
  2-2. 시누아즈리의 조형성
 3. 근대 도자 조형에서의 시누아즈리의 구현
  3-1. 양식으로서의 재현
  3-2. 모티브(Motif) 재현요소 및 상징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화 Kim, Youn Hwa.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 한석우 Han, Seok Woo.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