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1세기 한국건축의 한 원천으로 본 신한옥 - 최근 뉴욕의 몇몇 현대 건축에 대한 비평을 실마리로

원문정보

The New Hanok as an Origin of 21st Century Korean Architecture -with a Focus on Criticism of Recent Architecture in New York -

김경수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7호 2011.08 pp.301-33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at a discussion over the necessity and identity of new-hanok as a case and also an origin of 21st century Korean-Art-Architecture. Through some critique and interpretation about several architecture works in New York, the author intends to give critical attention to some fashion-like architecture and at the same time to their imperialistic influences around the world. Trying to overcome the present colonialistic conditions and trends in Korean architecture-world, he also refers to some classic exampes of architectural works by Wright, Piano, Moneo, Kahn. To disseminate new hanok for the general public and also as a jump stand, he discusses some obstacles and the future tasks for Korean architecture.

한국어

동양예술이 21세기에도 필요한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신한옥을 ‘새로운 한국의 건축(New Korean architecture)’으로 재규정하며, 과거지향적 ‘한옥’과 구별되는 신한옥의 정체성과 과제를 살피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건축의 주류로서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미국 뉴욕의 몇몇 현대건축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들이 한국 현대건축에 대해서도 식민주의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경제체제 속에서 자본주의적 상품으로 전락한 사례를 들어, 세계건축계 조류 자체의 미학적 문제와 고전의 가치를 논하였다. 건강한 한국 현대건축이 탄생하는 데에, 한옥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다물장원, 다물마루 등, 필자의 최근 조영사례도 간략히 소개하였으며 아울러 건축계의 한옥학습에 대한 희망적 전망도 피력하고 있다. 한국의 현재에 생명력을 갖는 신한옥(즉 한국 현대건축)은 전통건축의 역사를 창작의 원천으로 삼되, 현재의 문제를 반영하고 미래 삶의 전망을 아울러 담으려고 노력하는 다양한 시도를 향해 열려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목차

21세기 한국건축의 한 원천으로 본 신한옥
  〈논문요약〉
  Ⅰ. 식민주의 문화전략 아래에서
  Ⅱ. 신한옥의 개념과 이론적 전제
  Ⅲ. 자본의 향연 속에 과잉을 통한 경탄 추구
  Ⅳ. 서구 현대건축 고전을 섞어 넣기 : 탈식민시대를 향한 신한옥의 정체성
  Ⅴ. 한국 현대 건축의 상황과 한옥의 문제
  Ⅵ. 신한옥의 가능성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수 Kim, Kyong-Soo.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