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행 正樂大笒과 中國 笛子의 運指法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Fingering of Current Jeongak Daegeum and Chinese Jeokja

현행 정악대금과 중국 적자의 운지법 비교

정화순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7호 2011.08 pp.263-29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Jeongak Daegeum ( a large traverse bamboo flute used in Jeongak (lit. proper music) is different from that from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Thus far, it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when and why the Akhakgwebeom (Musical Cannon) Daegeum changed to the current structure. Some theories say that as the performing method of Geomungo (Korean zither) or Haegeum (a Korean fiddle) changed from Gyeonganbeop (a soft-touch fingering method) to Yeokanbeop (a powerful-touch fingering method), Hyangak (lit. village music) raised its pitches, while Daegeum also changed to the current structure. However, such a view is unpersuasive and even contradicting. This is because while a powerful-touch fingering naturally produces higher pitches than a soft-touch fingering does at the same location, Daegeum lowers its pitches. We found by chance, while studying Chinese Jeokja (a fiddle), that not only the Chinese instrument system but also the fiddle pitches are similar to those of Daegeum.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Korean music history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music history, it came to our mind that Daegeum probably changed to the current structure because of the Chinese influence. Thus, this paper sought to compare Korean Jeongak Daegeum and Chinese Jeokja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and to study fiddles from the Chinese Song, Ming and Qing dynasties with the aim of examining how Chinese fiddles developed the current formation system in a bid to reveal in the future how the current Jeongak Daegeum, which has a fingering method similar to that of Chinese Jeokja, changed differently from Akhakgwebeom Daegeum.

한국어

현행 정악대금은 조선전기의 그것과 다르다. 지금까지 󰡔악학궤범󰡕 대금이 현행과 같은 구조로 바뀐 시기와 이유가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일설에는 거문고나 해금의 연주법이 경안법에서 역안법으로 바뀌면서 향악의 음고가 높아졌으며, 아울러 대금 역시 현행과 같은 구조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설득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모순된 면이 발견된다. 왜냐면 동일한 위치에서 역안할 때에는 경안할 때보다 당연히 음고가 높아지는데 반해, 대금은 오히려 음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필자는 중국 적자를 학습하다가 우연히 악기의 제도는 물론 상대적인 음고가 대금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한국음악사가 중국음악사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대금이 현행과 같은 구조로 바뀌게 된 이면에 혹 중국 적자의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악대금과 중국 적자를 비교하여 그 동이성을 밝히고, 나아가 송․명․청대의 笛을 상고하여 중국 적자가 현행과 같은 形制를 이루게 된 배경을 살핌으로써 향후 중국 적자와 유사한 運指法을 가진 현행 정악대금이 󰡔악학궤범󰡕 대금과 다르게 바뀌게 된 이유를 밝히는 하나의 실마리로 삼고자 한다.

목차

현행 正樂大笒과 中國 笛子의 運指法 비교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화순 Jung, Hwa-Soon. 청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