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리더의 감성지능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이영균, 최현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est and review the underlying hypothesis that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d surveyed to 353 officers and soldier. That 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with voluntary followers(officer) and compulsory followers(soldier)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work environment. Our findings was that the higher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ed in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dditionally the most critical and influential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use of emo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 group of compulsory followers was more effected that of voluntary followers. The suggestion of our study is the followings. The military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eadership, educate military officers about emotional leadership and stress it use for military unit management. In that way, it can improve effectiveness of military fighting power, and increase military unit life satisfaction level of soldiers who are more than 70% of military resource, as well as preventing accidents.

한국어

연구는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단일 부대 내에서 중간제대 지휘관이나 부서장을 리더 집단으로, 그 리더의 업무 통제를 받는 인원 또는 부서원을 팔로워 집단으로 구성한 뒤, 리더의 감성지능 수준이 의무적 팔로워(병사)와 자발적 팔로워(간부) 각각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차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1년 9월 10일부터 15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하는 군부대에 근무하는 군인 353명의 표본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리더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조직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감성 활용 능력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리더의 감성지능을 독립변수로 조직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상반되게 의무적 팔로워 집단의 조직성과가 자발적 팔로워 집단보다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바, 그 이유는 간부 집단은 진급, 인사이동, 봉급․수당, 단결활동 등 조직성과에 대한 기타 영향요인이 많으며 조직에 대한 자발적 적극적 참여의지가 병사보다 높기 때문에 리더의 감성지능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군 조직에서 감성적 리더십이 보다 더 강조되어야 하며, 군 간부에 대한 감성적 리더십을 중점 교육하고 이를 부대 관리에 적극 활용한다면 군의 전반적인 전투력 제고의 효과는 물론이며 군 인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병사에 대한 병영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군 인력 관리 측면에서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감성지능
  2. 조직성과
  3.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설정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Ⅳ. 분석결과
  1. 빈도분석
  2.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 가설 검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균 경원대학교
  • 최현묵 경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