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한 재일 조선인들의 지지 운동

원문정보

The Support of Korean Diaspora in Japan for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김재기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제25호 2011.10 pp.109-13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ethnic groups in the world are forced to leave their motherlands and live in diaspora. Diaspora is strongly related to the loss of the sovereignty of their nations due to wars. When people lose their countries as a result of a war, they often have no choice but to leave their land. Those who roam around the world as foreigners or as a minority group after losing their country are called stateless diaspora. The highest goal of stateless-diaspora is to re-establish their own nation. To do so, they need to become independent and create a new government. In the process, their current government opposes such movement strongly. During the occupancy of Japan in Korea, Korean people continued to fight for their independence in spite of the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was followed by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in 1926 and Gwangju Independence Movement in November 1929. Gwangju Independence Movement was initia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ho stood against the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of Japan. It sparked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mong students, and even Korean people in Japan and in China supported the mov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support of Korean people in Japa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students in Gwangju in November, 1929. There is some data on how the movement spread to the entire nation and to China. However, there hasn’t been any study done on the support of Korean people in Japan for the Gwangju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students’ organizations and Korean workers’ associations that supported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한국어

지구상에는 수많은 민족이 오랫동안 살았던 모국을 떠나 다른 국가로 이주하여 디아스포라(diaspora)적 삶을 살아가고 있다. 국권을 상실한 민족들이 조국을 떠나 해외를 떠돌며 거주국가의 외국인이나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현상을 ‘국가 없는 디아스포라’(stateless diaspora)라고 부른다. 이들 국가 없는 디아스포라(stateless-diaspora) 민족들의 최대 목표는 자주적인 민족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다. 식민지 시기 나라 잃은 조선인들은 일제의 강압적인 동화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19년 3·1운동과 1926년 6·10만세운동에 이어 1929년 11월에는 광주의 중학생들이 일제의 폭압과 차별에 맞서 거리와 광장으로 쏟아져 나와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광주학생들의 주장에 대해 전국 학생들이 일제히 연대를 선언하고 지지선언과 대규모 시위를 전개했고, 일본과 중국으로 디아스포라한 조선인들도 지지운동을 전개했다. 이 논문은 1929년 11월부터 1930년 3월까지 전개 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한 재일 조선인들의 지지 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발생하여 1930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중국과 일본으로 디아스포라한 조선인 사회에 까지 확산된 일제시대 3대 독립운동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국화 과정이나 중국지역에서의 지지와 확산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나마 진행되었고 밝혀진 자료들이 있다. 그러나 일제의 심장부인 동경이나 오사카에서 광주학생들의 독립동에 대한 지지와 대응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논문은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비교적 조직적인 활동을 전개한 청년·유학생 단체와 노동자 단체들의 지지운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국가 없는 재일 조선인 디아스포라와 독립운동
 III. 재일 조선인 청년·유학생들의 지지 운동
 IV. 재일 조선인 노동운동 단체들의 지지 운동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재기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