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Process of Settlement translating the Korean Bible in mixed scripts : focusing on Easy script version

국한 혼용문 성경의 정착 과정 -『간이 선한문 신약성서(1913/1936)』를 중심으로

유경민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제13호 2011.10 pp.267-30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e. using both native script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Hanja)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and three series. Two types are Mixed script (國漢文) and Easy mixed script (簡易 國/鮮漢文), and three series are New Testament(NT henceforth) in Mixed Script (1906 version) (『新約全書 국한문 (1906)』),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1913/1936 version)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舊譯) ( 1913/1936)』), and NT in Easy Mixed Script Revised Translation (1940 version)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 (1940)』). The aim of this paper (Section 1) is twofold. One is to trace the history of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and the other is to appreciate the rol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n the evolution and settlement of writing system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2, two newly found versions of NT in Easy mixed script are introduced and it is argued that the date of first publication of NT in Easy Mixed Script should be pushed back to 1913. By closel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I rearrange the existing vers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3, I investigate and trace the changes in mixed scripts employed in translating the Bible into Korean. The principles two types of Mixed-Script in re-writing the Hangeul text into texts mixed-script were compared and it is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re-witing in Easy Mixed Script has much influences on the writing system of modern mixed script. In Section 4,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s discussed.

한국어

본고에서는 한국어 번역 성경 중 國漢 混用文 聖經을 크게 두 유형 세 계열로 나누고, 먼저 이들의 간행 역사와 교체 과정을 정리한다. 이후 자료 조사 과정에서 새로 발견된 대한성서공회 소장의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상세히 소개하고, 이 자료를 기존의 『新約全書 국한문(1906)』과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 및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1956)』과 대비하여 초기 국한 혼용문이 현대적 국한 혼용문으로 교체되는 과정에 새롭게 발견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자료가 미친 영향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한 혼용문 성경들의 저본 및 초간 연대와 관련된 문제를 정리한다. 2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 및 보급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우선 새로 발견된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와 관련 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최초본 성경의 간행 시기가 앞당겨져야 할 것과 이 성경이 한국어 성경 번역사에서 지니는 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두 유형의 국한 혼용문 성경을 세 계열로 나누어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와 간본별 특징을 현존본들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3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교체 과정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한글 전용문을 국한 혼용문으로 다시 쓰는 방식과 국한 혼용문의 유형적 변화를 『新約全書 국한문(1906)』,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의 대비를 통해 설명한다. 4장에서는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 성경의 간행과 보급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검토한다.

목차

요약
 1. 序論
  1.1. 硏究 目的
  1.2. 硏究 對象 資料
 2. 國漢 混用文 聖經의 發刊史
  2.1. 系列別 發刊 記錄 및 現存本 整理
  2.2. ‘簡易 鮮漢文 舊譯’ 系列의 새 資料
 3. 세 系列 國漢 混用文 聖經의 交替 過程
  3.1. 第1期 : 『新約全書 국한문(1906)』의 獨存期
  3.2. 第2期 : 두 類型의 國漢 混用文 聖經의 共存期
  3.3. 第3期 : 國漢 混用文 聖經의 統合期
 4. ‘簡易 鮮漢文 舊譯’ 系列 聖經의 國語史的 意義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경민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