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儒學의 生死觀에 입각한 安樂死의 倫理性 고찰

원문정보

A Thought of the Ethicality of Euthanasia in Confucian Viewpoint of Life and Death

유학의 생사관에 입각한 안락사의 윤리성 고찰

都民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think of the ethicality of euthanasia in Confucian viewpoint of life and death. Confucianism tries to take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basically on the nature, so that it understands that the life and death of human are gathering and scattering-out of Yin(陰) and Yang(陽). That is, it thinks of the death not in a transcendental viewpoint but in the nature law. In addition, it thinks of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in the viewpoint of righteousness. That is, it looks for the value of the meaning of life in keeping of the value rather in simple keeping of flesh life. Confucianism, therefore, puts higher value on just death rather than keeping the life in a dirty way. Thus, Confucianism calls it 'JeongMyeong(正命: a righteous death)' to die after completely fulfilling her/his duties. Euthanasia is the matter that comes from the aspect of dignity of life in which the 'quality of life' for living as a human is emphasized more than simple keeping of life. I think that the Confucian theory of righteousness based life and death can be a model for cultural and axiological access to the matter of death. Today, the matter of death should be thought of not only in the biological aspect but also in the cultural and axiological aspect. In this way, we can go for the true well-being and well-dying.

한국어

본 연구는 유학의 생사관을 통해 안락사(安樂死)의 윤리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유학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연을 근거로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여, 인간의 삶과 죽음을 음양(陰陽)이 모이는 것과 흩어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즉 죽음을 초월적인 관점으로 보지 않고 자연법칙에 근거하여 이해한 것이다. 또한 유학에서는 도의적(道義的) 관점에서 삶과 죽음의 의미를 판단하기도 하였다. 즉 단순히 육체적인 생명을 유지하는 것만이 아니라 가치론적 측면에서의 삶의 의미를 중시한 것이다. 이에 유학에서는 구차하게 생명을 유지하기보다는 차라리 정의롭게 죽는 것을 더 가치 있게 생각하였다. 이와 같이 자신의 도리를 다하고 죽는 것을 ‘올바른 죽음[正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올바른 죽음 속에서도 가장 행복한 죽음을 고종명(考終命)이라고 한다. 고종명은 자신이 삶 속에서 해야 할 사명을 올바르게 구현하고 수명을 다하여 죽는 죽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학에서는 도덕적 실천에 근거한 죽음을 가장 가치 있고 행복한 죽음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다. 안락사는 생명의 존엄성이라는 차원에서, 단순한 생명의 유지가 아닌 인간답게 사는 ‘삶의 질’을 강조함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이제는 죽음의 문제도 단순히 생물학적 차원의 죽음만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문화적․가치론적 차원에서의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것이 진정한 Well-being과 Well-dying을 추구하는 길이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유학의 도의적(道義的) 생사관(生死觀)은 죽음의 문제에 대한 문화적․가치론적 접근의 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논문요약
 I. 서언
 II. 儒學에서 바라보는 삶과 죽음
  1. 陰陽論的 관점에서의 삶과 죽음
  2. 道義論的 관점에서의 삶과 죽음
 III. 安樂死의 윤리적 문제
 IV. 결어 - 유학의 관점에서 본 안락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都民宰 도민재. 청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