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distinction of Korean Theatre Musical Industry
초록
영어
This thesis tries to analyse the distinction of Korean Theatre Musical Industry through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rket situation and its products. As for the result, while mainstream venues were primarily occupied by the art-focused products, small venues were predominated by popular contents of Korean Musicals.
On the contrary, as for the imported or tour productions from abroad, it mainly staged on the bigger-sized theatres comparatively which enabled the effective and lucrative market situation. To improve the market environment for the Korean Theatre Musical Industry, these suggestions can be considered; firstly, financial burden of the early production process has to be reduced, secondly, test for each process of production has to be established for the examination of competitiveness, thirdly, Open-run system which connected with Scale of Economy has to be applied for the Korean Theatre Musical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뮤지컬 시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 뮤지컬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창작 뮤지컬 콘텐츠의 경우 주로 대극장에서는 예술성과 실험성을 지향하는 부류의 작품이, 소극장에서는 대중성을 지향하는 작품이 편중되어 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수입 뮤지컬의 경우는 이익 창출이 용이한 대극장에서 대중성을 지향하는 작품이 주로 제작, 소비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상업적인 공연시장이 발달한 영미권 시장의 경우와는 상반된 결과로, 창작 콘텐츠의 발전과 이익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배경이 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다 튼실한 경제구조로서의 대형 창작 뮤지컬을 만들기 위해서는 첫째, 초기 개발비용에 대한 이익집단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하며, 둘째, 단계별 검증 단계를 설정해 흥행의 리스크를 최소화시켜야 하고, 셋째, 장기공연을 통해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시장의 제반 환경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I. 서론 및 연구문제의 제기
II. 뮤지컬 산업의 특성과 한국 뮤지컬시장의 발전
III. 한국의 뮤지컬 산업 현황
3.1 창작 및 제작 현황
3.2 뮤지컬 시장의 규모 및 현황
3.3 유통 현황
3.4 소비자 실태 및 현황
IV. 한국 뮤지컬 산업의 구조적 특성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