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西夏 水月 觀音圖의 圖像 해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conography of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in the Xixia Period

서하 수월 관음도의 도상 해석

황금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Xixia(1038 -1227) founded by Tankut was an ardent Buddhist kingdom and boasted its prosperous Buddhist culture. There are a lot of remaining Buddhist paintings in the caves of Dunhuang and from Khara Khoto ruins.
Water-Moon Avalokitesvara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ubjects of the Buddhist paintings. The paintings were painted on the wall of the main hall for the first time at the Dunhuang grottos in the Xixia period. We assume the belief in Water-Moon Avalokitesvara was more popular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iconographies of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produced in the Xixia kingdom.
Avalokitesvara holds a copy of sutra or a rosary in his hand as an attribute. Holding a rosary is common, especially to white-robed Avalokitesvara. But holding a sutra on the other hand is very unusual. It’s hard to find the other examples except for the Mr. Ma’s Wife Kuan-yin holding a scroll of sutra. A copy of sutra is originally attributed to Samantabhadra Bodhisattva. Avalokitesvara and Samantabhadra holding the same object on the Xixia Buddhist paintings tells us very significant point.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 ruling class of Xixia, that is, high ranking patrons regarded two bodhisattvas as the same. Such an assumption is supported by the placing much importance to the Avatamsaka Sutra(華嚴經) in Xixia.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the sutra is different from the belief based on the chapter on Avalokitesvara in the Lotus Sutra(法華經普門品). The bodhisattva practice, namely seeking the ultimate truth and salvation of others, is emphasized in the writings on Avalokitesvara. Samantabhadra also preaches about the practices to be enlightened in the last chapter of the forty-volume version of Avatamsaka Sutra(普賢行願品). From this fact, we know the reason why Avalokitesvara holds the Samantabhadra’s attribute. It symbolizes the bodhisattva practice.
The waning crescent-shaped moon depicted at the top of the painting is also concerned with the writings of the Avatamsaka Sutra. It represents the means of Buddha teaching the law of the impermanence with its changes in the shape.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bodhisattva practice. In other words, he changes the means of sav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uffering beings. In reality the crescent moon appears on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of Uighur prior to Xixia in the same Dunhuang area. Hence we can see they adopted the moon iconography and transfigured it.
We often encounter the pilgrims and donor figures on the works of Xixia. They are distinctive iconographic elements of the Dunhuang Avalokitesvara paintings. But the priest Xuanzang(玄􂂎法師) in company with his attendant and the donor party on a cloud attached with a long curving tail are never seen before. It indicates that the devotion of pilgrimage to the sacred place is stronger in the Xixia kingdom.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of Xixia represents the deity of Mt. Potalaka in West regions instead of Mt.
Putuo, the Chinese abode, even though the form and iconographies of the painting are under the influence of Northern Song. Therefore the desire of visiting the holy abode in the far distance is represented on the painting. In other words, both iconography of Xuanzang and the specific shape of cloud certify the holy site as Mt. Potalaka described in the Avatamsaka Sutra.
There is another painting that shows us the influence of the Avatamsaka Sutra. The iconography of the Tankuts dancing and playing the musie is very unique. They seem to farewell the soul of the old man on a cloud, possibly the emperor of Xixia. The shape of the cloud with a long curving tail demonstrates that he has just arrived here, and he is burning incense right in front of Avalokitesvara. In these respects, I believe that he is reborn in the Pure Land of Avalokitesvara not that of Amitabha. Rebirth in the Avalokitesvara Pure Land(觀音淨土往生) is preached in the verse of Avalokitesvara in the forty-volume version. There the devotees can exercise Bodhisattva practice with the deity’s help. It is a compassionate means of Avalokitesvara for their enlightenment. The belief circulated a lot through the Kamakura period in Japan by the promotion of the monk Jyokei(貞慶). I have suggested that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of Goryeo bear the belief, too. It is interesting to find the evidence of the belief that also spread in Xixia.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tifs, shrivatsa and chakra are found on the Amitabha Buddha’s body. They have been pointed out as a featur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ith a textual source based on the Avatamsaka Sutra. This also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Xixia Buddhist paintings and Hwaeom thought. I hop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done on the influence of the Avatamsaka Sutra as I mentioned above regarding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of Xixia.

한국어

탕쿠트족이 건국한 西夏(1038-1227)는 왕실에서부터 열렬히 불교를 믿고 받들어 불교문화가 번성하였다. 佛畵또한 많이 제작되어 敦煌石窟의 벽화를 비롯하여, 하라호토 유적지 등에서 출토된 작품들이 현재 전하고 있다. 水月觀音圖는 서하시대에 비로소 石窟主室에 그려지게 되어 서하 불화의 중요한 주제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당시 수월관음신앙이 성행했음도 짐작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서하 수월관음도에 특히 부각되어 나타나는 圖像들의 의미와 등장 배경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西夏水月觀音圖에서 관음이 지물로 대부분 經冊과 念珠를 들고 있는 것은 특징적이며, 그 배경은『華嚴經』觀音法門에서 설하는 求道修行者的觀音菩薩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그믐달 역시 求道와 衆生敎化의 菩薩行실천과 관련된 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은 관음이 경전을 읽거나 달을 관조하는 모습으로 표현된 점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따라서 당시 서하에서 불사를 할 수 있었던 고위 계층에서는『華嚴經』경설의 실천 수행을 강조한 觀音信仰을 신봉하였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觀音의 大悲行門과 普賢行願을 同一視하였음을 수월관음도와 보현보살도 화면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玄􂂎取經圖가 화면에 등장하고, 補陀落山관음을 參拜하는 人物群像이 유난히 많이 등장하는 점도 서하 수월관음도의 대표적인 도상적 특징이었다. 참배 인물상의 부각은 서하인들의 보타락산 巡禮와 親見念願을 말해주며, 이러한 신앙심은 敦煌지역에서 이전부터 존재하여왔음을 볼 수 있었다. 즉 서하 수월관음도는 비록 形式과 圖像에서 中原의 영향을 받았지만, 中國의 관음성지 普陀山이 아니라 西域補陀落迦山을 표현하였으며, 긴 꼬리가 달린 구름을 타고와 관음을 참배하는 장면은 이를 시각적으로 말해주는 회화적 표현이었다. 아울러 玄􂂎取經圖의 삽입 역시 이곳이 補陀落迦山임을 認證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탕쿠트족 복식의 인물들이 춤추고 악기를 연주하며 亡者를 환송하는 수월관음도 화면에서는『40華嚴經』觀音法門에서 설하는 觀音淨土往生信仰이 당시 서하에서도 행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시동을 대동한 채 구름을 타고와 관음에게 香공양을 올리는 노인은 서하 황제의 亡魂으로 추정되어, 관음정토 왕생신앙이서하의 지배 계층에 공유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生前에『華嚴經』경설의 실천 求道行관음신앙을 신봉한 서하인들은 死後에도 菩薩行修行을 위하여 관음보살의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요컨대 西夏水月觀音圖는 北宋에서 유래한 形式과 圖像에다『華嚴經』경설을 중시한 당시의 觀音信仰, 그리고 敦煌지역 특유의 西域補陀落迦山參拜신앙심을 표현하였으며, 西夏작품에서 敦煌수월관음도의 특징은 정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高麗水月觀音圖와 여러 유사성을 보이는 점은 阿彌陀如來모습에 보이는 卍字및 千輻輪文표현과 함께 宋佛畵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 계속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西夏에서『華嚴經』과「普賢行願品」이 중시되었고, 서하인들이 구도 실천적인 보살행에서 觀音과 普賢菩薩을 同一視한 양상이 畵像에 드러나 있는 점에 관해서는 앞으로 學界의 주목과 보완적인 연구가 계속되었으면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西夏水月觀音圖의 圖像的특징
  1. 經冊과 그믐달 - 求道와 衆生敎化, 菩薩行의 상징
  2. 參拜인물 - 補陀落山巡禮와 親見의 염원
 Ⅲ. 補陀落山觀音淨土往生信仰의 표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금순 Hwang Keumsoon. 평택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