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石塔의 基壇과 基礎部 築造 方式 考察 - 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tone Stupa the stereobate and substructure in Korea

한국석탑의 기단과 기초부 축조 방식 고찰 - 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

홍대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ructures fulfill stylobate in order to sustain the load of the superstructure and protect the construction from the ground. At the same time, weight buildings need to be essential to reinforce bases for keeping the buildings stably from width pressure and vertical load distribution.
After liberation, many pagodas were repaired and restored but they didn’t endure just 30 years. Their repair and structural safety problems are caus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pagoda foundation.
A stylobate and foundation of pagoda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for structure sizing and safety. It was borrowed by an post-lintel stylobate, and sub-substructure co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ancient technique of civil engineering such as mountain fortress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pagoda foundation was started on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版築工法) technique. of wooden pagoda or wooden architecture. On eastern pagoda site and western pagoda of Mireuksaji, after excavation as square or trapezoid type, certain thickness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was investigated from the lowest part to soil stratum of stylobate.
As the western pagoda of Mireuksaji has been verified that the combined aspects of wooden pagoda foundation and wooden-style ground structures adapted as stone, it has been proven to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wooden pagoda to stone pagoda. As the midfield wooden-pagoda site and stone pagoda are present in the same temple site on Mireuksaji, we can effectively examine the aspects of foundation of wooden and stone pagoda.
The stone pagoda since Mireuksaji formed main stream, but also wooden pagoda was built steadily through Korea dynasty. It sought a diversity of aesthetic unified Silla, at the same time some isn’t able to overlook the impact of China. In Yo and Song dynasty, A large high-rise wooden pagoda fashioned with brick pagoda that formed the main stream previously.
Considering the close mutual exchange Buddhism between early Korea dynasty and China, Korea would accepted the influence of China wooden pagoda style partly.
With establishing Korea dynasty, wooden pagoda erecting was assured by constructing records of 10 temple in Gaegyeong and through pagoda repair records in history books. Beopjusa Temple Psalsangjeon shows that wooden pagoda construction lasted to Chosun dynasty.
The common application of wooden architecture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at stone pagoda is the result that consider the load handling of weight architecture and the ancient’s awareness for wooden building adaptation on stone pagoda. The construction of stone pagoda foundation was investigated as 판 fill- up and digging ground technique, and various transform methods based on hardening and heaping of earth were confirmed.
In construction of foundation on Korean-style stone pagoda,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 and topography didn’t appear. It revealed pagoda building engineers used the materials that can obtain easily around. Also their creative impulse effected when they made pagoda sometimes.

한국어

건축물은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탱하고 지면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기단을 구비한다. 동시에 중량건축물은 수직하중의 분산과 함께 횡압력으로부터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기초부 보강이 필수적이다. 해방 이후 많은 석탑이 수리, 복원되었으나 불과 30 여년을 견디지 못하고 재 수리나 구조상의 안전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석탑 기초부에 대한 이해부족 때문이라고 하겠다.
석탑의 기단과 기초부는 구조물의 규모산정과 안전을 위한 필수 고려 사항인데, 목조건축의 가구식 기단을 차용한 것으로 하부 기초공사는 산성축조 기법 등 고대 토목기법과 연관되어 있다. 석탑 기초부 축성은 목탑 혹은 목조건축의 판축공법을 바탕으로 시작됐다.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석탑을 통해 정방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굴광 후 최하부에서 기단토층 까지 일정한 두께로 판축 되었음이 조사되었다. 미륵사지 서석탑은 목탑의 기초부와 석재로 번안된 목탑양식의 지상구조물이 결합된 양상임이 확인되어 목탑에서 석탑으로의 변화과정을 입증하고 있다. 미륵사지는 중원 목탑지와 석탑이 동일 사역에 존재하고 있어 목탑과 석탑의 기초부 양상을 효과적으로 살필 수 있다. 미륵사지 석탑 이후 불탑은 석탑이 주류를 형성하였으나 목탑 역시 고려를 거쳐 꾸준히 건립되었다. 이것은 다양성을 추구했던 통일신라 미의식의 계승인 동시에 일부 중국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요와 송대에 세워진 불탑은 이전 까지 주류를 형성하던 전탑과 함께 대형의 고층목탑이 유행했는데, 고려 건국 초 중국과의 밀접한 불교교류를 고려한다면 중국 목탑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수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는 건국과 함께 개경 10찰 건립기록과 사서에 전해지는 불탑 수리기록을 통해 목탑 운영이 확인되며,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까지 목탑건립이 지속되었음을 알려준다.
목조건축의 판축을 석탑에도 공통적으로 적용한 것은 고대인들이 석탑에 대해 가지고 있던 목조건축의 번안이라는 인식과 함께 중량건조물의 하중처리를 동시에 고려한 결과다. 석탑의 기초부 축조는 판축과 성토, 삭토공법이 조사되었는데 판축을 근간으로 한 다양한 변형공법이 확인된다. 고려시대 석탑의 기초부 축성에 있어 지역과 지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점은 건탑 기술자에 따른 작의성과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자재를 이용해 築成했기 때문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기단, 기초부의 범위와 개념
  1. 기단부 개념과 용어
  2. 목탑기단의 기초부 구성
 Ⅲ. 석탑기초의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
  1. 고려시대 목탑의 기초구성
  2. 삼국시대 석탑의 기초구성
 Ⅳ. 시대별 석탑 기초의 제 양상
  1. 통일신라 석탑의 기초부 양상
  2. 고려시대 석탑의 기초부 양상
 Ⅴ. 석탑 기초부 형식고찰
 Ⅵ. 맺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홍대한 Hong Daihan. 상명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