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한국전쟁과 한국군위안부문제를 돌아본다

원문정보

Study on “Comfort Women” for Korean Military during the Korean War

김귀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00, the voice within Korean society calling for reconciliation and leniency, along with bring justice to history, became quite high. In retrospect, Korean government and society have been silent about the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army. However,  the proble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army was not over with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ended on August 15th, 1945. I discovered the existence of “comfort women” within the Korean army during the Korean War, while I was researching the victims of the war in the fieldwork on Sokcho in 1996.
This article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of such system. And it is to pursue who designed it, what kind of activities were involved, and who were the comfort women. Furthermore it is to explain what is the cause of silencing those involved in such issues. It is my intention to approach the reality by introducing various questions regarding the comfort women of Korean army.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were not found yet except from The Rear Base War History published in 1956 by the Korean Army Headquarter. There are diverse paths to seek the historical truth. My methodology involves oral history methodology which instills voices to the memory of the mass. Although comfort women kept their silence, I could ascertain the testimonies of many men who had encountered comfort women through the army. Even Younghee Lee, one of the most respected intellectuals of the Korean society, has testified and recorded his encounter with comfort women during the Korean War in a disinterested manner, treating it as one of the mundane episodes of the war. Even though many historical documents record the experience of many soldiers and the issue of sexual slavery has become an international one,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s themselves are being silenced.

한국어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에는 과거사 정리와 함께, 화해나 관용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높다. 돌아보면 한국 정부나 사회 역시 일본군 성노예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침묵해왔다. 그런데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1945년 8월 15일 이전의 일제식민주의에서 끝난 문제가 아니었다. 나는 1996년 분단과 전쟁의 희생자들에 관한 현지조사 과정에서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 육군에 의한 군‘위안부’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이 만든 위안소의 실체와 성격은 무엇이고, 누가 만들었고, 어떤 일을 하였으며 군위안소의 위안부는 누구인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한국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침묵하도록 만든 원인은 무엇인가 등등 한국군의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제반 의문들을 제기함으로서 사실에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것에 대한 대답은 대한민국 육군본부가 1956년 발간한 ꡔ후방전사(後方戰史)ꡕ외에는 결정적인 문서를 아직 찾아내지 못했다. 역사의 진실을 추구하는 다양한 길이 있다. 나의 연구방법론은 민중의 기억에 목소리를 불어넣어 억압된 진실을 기록하는 구술사방법론이다. 비록 군위안부였던 여성은 침묵해왔지만, 군위안부의 경험을 가졌던 많은 남성들의 증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심지어 한국의 대표적인 지성인으로 손꼽히는 리영희조차 한국전쟁 당시의 군위안부와의 만남을 별다른 감회 없이 전쟁 중 일화를 소개하듯 기록하였고 증언하였다. 전쟁을 경험한 많은 군인의 기록에도 남아 있고, 일본군 성노예 문제가 세계적 문제로 거론되어도 한국인 자신의 경험은 침묵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국가폭력과 한국군의 군위안소
 3.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 위안대의 실체를 밝힌다
  (1) 설치 목적
  (2) 설치 운영 시기
  (3) 위안대 설치 장소
  (4) 위안대 규모
  (5) 특수위안대 실적 통계표
  (6) 위생검사
 4. 풀어야 할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귀옥 Kim, Gwi-Ok.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