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ies of women’s marriage and life during the 1950s through life history interviews with three Korean War widows.
Young women at the time of the 1950 year have married with young man unvoluntarily. A major reason for this women’s marriag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women wished to avoid from sexual harassment by American soldiers, North Korean’s, South Korean soldiers, and also Japan‘s soldiers. And these women became widows because of the korean war, that their three husband were conscripted in army and died during the korean war in common.
For war widows life of marriage having a time with their husband was very short. Whereas after their husbands’ deaths war widows have lived in long time as widow, because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not having a education career or job skill to select the other strategy of life.
In short, the marriage and life courses of this three war widows reveal much about how during the 1940s-50s the life of woman was distorted, bent, and destructed by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urroundings, especially by korean war.
한국어
이 글은 한국전쟁 당시 남편과 사별한 여성들의 결혼과 이별 과정을, 세 명의 미망인의 구술면접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결혼과정을 보면,38도 분단선 지역에 살던 경우, 남과 북의 잦은 대립과 전투는 젊은 남편이 평범한 가정생활을 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었고, 결혼한 여성은 기혼자이되 전쟁 이전부터 실질적으로는 이미 과부나 다름없었다. 또, 한국전쟁으로 각 군인들의 전쟁터가 된 지역의 경우, 미군과 한국군, 북한군 모두는 미혼의 젊은 여성의 성을 파괴하는 집단이었고, 20세 전후의 미혼 여성들은 군인들의 위협으로부터 회피하는 수단으로 결혼을 하였다. 또, 해방 전 일본의 태평양전쟁 당시, 위안부로 징집당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으로 미혼 여성들이 결혼을 하였다. 다음으로, 남편과 이별 과정을 보면, 공통되게 한국전쟁에 남편이 징집되어 죽게 되면서,짧은 신혼 후에 곧 여성이 과부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세 전쟁미망인 사례는, 당시 젊은 여성들의 사랑과 결혼이 비자발적으로 강요되고 굴절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식민지에서 분단과 한국전쟁을 거치는 시대 상황이 착종되어 여성 개인의 삶을 강제하고 파괴했던 역사의 단면을 드러낸다. 그러나 당시 학력과 직업기술이 없이 자녀가 있는 사별 여성이 남편 사후에 선택할 수 있는 삶의 전략은 제한적이었고, 따라서 역사 사회적인 외적요인으로 인해 초래된 과부의 이름은
개인의 전 생애를 규정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목차
1. 머리말
2. 마당 위의 삼팔선: 분단과 가족 이산
3. 파괴된 평화와 행복: 짧은 신혼, 긴 이별
1) 처녀들의 위험탈출, 결혼
2) 너무 짧았던 신혼, 임신, 그리고 헤어짐
4. 전쟁의 뒤편에서 : ‘과부’로 살아가기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