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존재론에서 탈재론(脫在論)에로 -미야모토 히사오의 에히예로기아 소고(小考)-

원문정보

From Ontology to Ehyehlogia - Hisao Miyamoto’s Ehyehlogia -

김산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Ontology to Ehyehlogia -Hisao Miyamoto’s Ehyehlogia- Kim, San-Choon (Sogang Univ.) Auschwitz is not a case of tragedy that became a past. Its totalitarianism has become a starting point of crises and ruins of today’s humanity. How can one find a clue in thought to an escape from the tragedy? Miyamoto finds the hotbed of Auschwitz in terms of thought. Considering a genealogy of Greek philosophy, he maintains that the problem of dehumanization annihilating the other is rooted in onto-theo-logia of Aristotle, Descartes, Nietzsche, and Heidegger. Thus, turning to Christian thought, he finds in Hebrew tradition-by interpreting the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the story of Moses in ExSodus-a key to convivialité that is open to the other. That is the beginning of his ehyehlogia. The first person singular future perfect ‘ehyeh’ of the Hebrew ‘exist’ verb ‘hayah’, which God employs in Exodus to describe His nature, implies that God is not an unchanging eternal selfsame one(le même), but that God is without ceasing in ek-statsis towards a new border and, furthermore, the ek-stasis is an arrival to the other. Therefore, ‘ehyeh’ has the meaning of convivialité in the sense of ‘realizing a common life with the o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ethodological practice of ehyehlogia is pneumatological interpretation. In such interpretation, we encounter an ‘alien’ as the other of the present age, which is the 김산춘 ▶ 존재론에서 탈재론(脫在論)에로 297 ‘face’ Levinas talks about. It is through a surplus-encounter with the ‘face,’ which makes us say ‘I am you,’ that we go over the abyss of Auschwitz, the symbol of das radikale Böse. Therefore, ‘ehyeh’ can be said to be a source of energy that creates continually a new story a story of selfsame(le même).

한국어

아우슈비츠는 과거가 된 비극의 한 예가 아니다. 그 전체주의 사상 은 오늘날 인류적 위기와 파탄의 원점이 되어있다. 그러면 이 비극을 탈출하는 사상적 단서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미야모토는 먼저 아 우슈비츠의 사상적 온상을 묻는다. 그는 그리스철학의 계보를 더듬 어, 타자의 말살이라는 비인간화의 문제가,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 트, 니체, 하이데거에 이르는 존재-신-론(Onto-Theo-Logia)에 뿌 리내리고 있음을 명시한다. 그 위에서 그리스도교 사상에 눈을 돌려, 구약성경의 문학 특히 「탈출기」의 모세 스토리의 해석을 통해, 헤브 라이적 전통 가운데서 타자에게 열려 있는 상생(相生)에의 단서를 발견한다. 그것이 탈재론(EHYEHLOGIA)의 시작이었다. 헤브라이어 존재 동사 의 단수 1인칭 미완료형인 의 특징은, 신이 불변부동의 영원한 자기 동일자가 아니라 스스로 부단히 새로운 경계에로 탈자(脫自)하여가는 동태(動態)라는 점, 그리고 그 탈자는 타자에게로의 도래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ehyeh 는 ‘타자와 함께 이룬다’는 상생의 의미도 지닌다. 탈재론의 방법론적 실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의 프네우마적 해석이다. 그러한 해석 안에서 우리는 현대의 타자인 ‘이방인’-레비나스가 말하는 ‘얼굴’-을 만나며, ‘나는 너다’라고 말하게 하는 그 얼굴과의 잉여(剩餘)적 만남을 통해서 근원악의 상징인 아우슈비츠의 심연을 건너가는 것이다. 그러기에 ‘에히예’ 는 자동(自同)적 이야기의 <밖>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스토리를 창조하는 에너지의 원천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왜 탈재론인가?
 2. 근원악의 상징으로서의 아우슈비츠
  1) 생(生)의 박탈
  2) 사(死)의 박탈
 3. 존재-신-론(Onto-Theo-Logia): 전체주의의 사상적 온상
  1) 아리스토텔레스: 존재-신-론의 성립
  2) 데카르트: 코기토
  3) 니체: 힘에의 의지
  4) 하이데거: 기술적 존재-신-론
  5) 현대와 경제-기술-관료정치
 4. 탈재론(EHYEHLOGIA)의 탄생
 5. 아우슈비츠의 심연을 건너서 상생에로
  1) ‘나는 너다’라는 핵심어
  2) 에히예적 상생을 위한 프네우마(Pneuma)적 해석
  3) 이방인, 얼굴, 잉여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산춘 Kim, San-Choon. 서강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