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궁극적 의미의 초월철학적 반성 - Ratio fidei의 궁극적 정초라는 차원에서의 접근-

원문정보

Transzendentalphilosophische Reflexion über den letztgültigen Sinn - Ein Versuch im Letztbegründungszusammenhang der “Ratio fidei” -

김승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ranszendentalphilosophische Reflexion über den letztgültigen Sinn -Ein Versuch im Letztbegründungszusammenhang der “Ratio fidei”- Kim, Seung-Wook (Incheon Catholic Univ.) In seinem eigenen fundamentaltheologischen Entwurf hat Hansjürgen Verweyen versucht, den Begriff des letztgültigen Sinns tranzendentalphilosophisch zu eruieren und darauf den christlichen Glauben erstphilosophisch zu verantworten. Ist aber dieser Versuch im Letztbegründungszusammenhang der “Ratio fidei” wirklich möglich? Freilich kann die menschliche Vernunft den Inhalt der Glaubenswahrheit nicht ausmachen. Sie muss aber die transzendentale Form, die erst durch den Glaubensinhalt erfüllt werden kann, mindestens in der autonom philosophischen Reflexion eruieren können. Sonst bleibt der von außen mir gegebene Glaubensinhalt durchaus heteronom. Man fordert also notwendig eine philosophische Eruierung der transzendentalen Form der Glaubenswahrheit. Verweyen bestimmt diese transzendentale Form als den “Begriff des letztgültigen Sinns”, den die Vernunft transzendentalphilosophisch eruieren muss. Eine Philosophie, die durch die Eruierung des letztgültigen Sinns als der transzendentalen Form die Kriterien für den in der Glaubenswahrheit implizieren letztgültien Sinn bereitet, nennt Verweyen “Erste Philosophie”. Und er sieht, dass diese Erste Philosophie eine Rolle als die Kriteriologie für das hermeneutische 김승욱 ▶ 궁극적 의미의 초월철학적 반성 239 Verstehen spielt. Hier ist die grundsätzliche Einsicht in die genetische Beziehung zwischen der ursrünglichen Evidenz der absoluten Wahrheit und der abkünftigen Evidenz der menschlichen Vernunftsvollzüge, und in die wechselseitige Beziehung zwischen Erster Philosophie und der Hermeneutik vorausgesetzt. Vor dem Hintergrund dieser Einsicht versucht Verweyen, den letztgültigen Sinnbegriff streng transzendentalphilosophisch zu eruieren. Dabei ist die Grundbasis der Eruierungen ist das “Ich denke” als der Grund der nicht hinterfragbaren Letztgültigkeit. Auf dieser Basis analysiert Verweyen aus der Elementarstruktur der menschlichen Vernunft die universale Sinnfrage. Dabei ist der letztgültige Sinnbegriff als die Antwort auf die Sinnfrage nichts anders als die transzendentale Denkmöglichkeit der “Einheit in Differenz” oder der “Einheit in Vielheit”. Verweyen erhellt es streng transzendentalphilosophisch, indem er Anselms “Verbum aut imago” und Fichtes “Bildbegriff” aufgreift. Verweyens Versuch hat seine eigene Bedeutungen besonders im Diskussionszusammeng darüber, ob eine Glaubensletztbegründung überhaupt möglich ist. Denn seine streng transzendentalphilosophische Reflexion basiert-wie man in seiner Kritik an Maréschallschule und Apel sieht-auf die Einsicht in die ursprüngliche Evidenz der Glaubenswahrheit. Dies zeigt, dass Verweyens fundamentaltheologischer Entwurf der fundamentaltheologischen Tradition der Kirche(“Ratio fidei”) entspricht.

한국어

독일의 가톨릭 기초신학자인 한스유르겐 페어바이언은 자신의 고 유한 기초신학 프로그램 안에서 “궁극적 의미의 개념”(Begriff des letztgültigen Sinns)을 초월철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그리 스도교 신앙의 이른바 제일철학적 해명을 감행하고자 하였다. 이 러한 그의 시도는 교회전통 안에 있는 “신앙의 근거”(Ratio fidei) 의 궁극적 정초라는 맥락에서 수행 가능한 것인가? 물론 신앙진리의 내용(Inhalt)은 인간이성이 결코 만들어낼 수 없다. 그러나 최소한 인간이성은 자신의 자율적⋅철학적 반성을 통해 신앙의 내용으로 비로소 채워질 수 있는 궁극적 신앙진리의 선험적 형식(transzendentale Form)을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 지 않을 경우 외부로부터 나에게 주어지는 신앙진리의 내용은 철 저히 타율적으로 머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신앙진리의 선험적 형 식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우리에게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궁극적 진리의 선험적 형식(틀)을 페어바이언은 인간이성이 초월 철학적으로 해명해야 할 “궁극적 의미의 개념”(Begriff des letztgültigen Sinns)이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페어바이언은 궁극적 의미개념이라는 선험적 형식(틀)을 규명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신앙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의 탐구기준 을 마련하는 철학을 제일철학(Erste Philosophie)이라 칭하고, 이 철학이 해석학적 이해에 대한 일종의 척도론(Kriteriologie)의 역할 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여기에는 절대진리의 원초적 명증성과 보복논증적으로 확인된 이성수행의 부차적 명증성 사이의 발생적(genetisch) 관계, 그리고 제일철학과 해석학 사이의 상호 보완적 관계에 대한 근본적 통찰 이 전제되어 있다. 이러한 통찰을 전제로 페어바이언은 궁극적 의미개념을 엄밀하 김승욱 ▶ 궁극적 의미의 초월철학적 반성 237 게 초월철학적으로 해명하였다. 여기서 초월철학적 해명의 토대는 비판적으로 거슬러 더 이상 물을 수 없는 궁극적 타당성의 근거로 서 “나는 생각한다”(das ‘Ich denke’)이다. 이를 토대로 그는 인간 이성의 근본구조(Elementarstrucktur)로부터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의미물음(Sinnfrage)을 엄밀하게 초월철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의미물음의 해답으로서 제시되는 궁극적 의미개념(Sinnbegriff)은 다름 아닌 “다름 안의 통일” 또는 “다수 안의 단일”의 초월적 사유 가능성이다. 페어바이언은 이를 안셀무스의 “Verbum aut imago” 와 피히테의 모사개념(Bildbegriff)의 도움을 받아 철저하게 초월철 학적으로 해명해 내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신앙의 궁극적 정초가 과연 가능한지 비판 적으로 토론하는 오늘날의 신학적 담론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왜냐하면 그의 엄밀한 초월철학적 반성은-이미 본 논문에서 마레 샬 학파와 아펠에 대한 비판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신앙진리의 원초적 명증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이는 그의 기초 신학적 기획이 “Ratio fidei”에 대한 철학적 반성이라는 교회전통과 부합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페어바이언에게 있어서 역사적 사실 나자렛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선포된 하느님 말씀의 궁극타당성 (Letztgültigkeit)은 그리스도교 신앙내용의 특유성(Spezifikum)을 결정한다. 바로 이 궁극타당성 때문에 신앙개념은 철학적 신앙해 명이라는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처음부터 자율이성의 반대개 념으로 축소될 수 없고 오히려 자율이성을 해방시키는 것으로 파 악되어야 한다.

목차

1. 주제 설정
 2. 보편적 해석학과 궁극적 정초
 3. 의미물음(Sinnfrage)의 초월적 분석
 4. 궁극적 의미개념(Sinnbegriff)의 초월적 분석
  1) 첫 번째 단계의 성찰
  2) 두 번째 단계의 성찰
 5. 결론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욱 Kim, Seung-Wook. 인천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