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흥길론-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Yun, Heung-Kil’s Novels

정호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above discussion, we have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nterpretations of the work <장마 Rainy season> which are widely accepted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ry education are mostly inappropriate because they are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the work. Stepping on these critical analysis we tried to deduct some new interpretations of <장마 Rainy season>. There are two main focuses. 1)What role does it do setting sons of two old women one as a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wo Koreas? 2)What meanings does Shamanism have in this work? For question 1) we have two answers. First, this kind of setting is effective in expressing circumstances of characters. Second, by dramatically bringing out changes of two old women’s relationship, this setting effectively tell us two true topics of this work, consideration and sympathy. There are also two answers for question 2). First, the author used shamanism in <장마 Rainy season> just for reflecting the reality not for special perposes. Second, shamanism effectively delivers true topics of this work, consideration, sympathy, tragidy of war, implicit maternal instinct, and enduring attitude. In many times, widely accepted interpretations of a literary work are off the reality of the work. To lessen the danger of mis-interpretation, precise comprehension and an analysis based on that comprehension is required.

한국어

이 논문에서 우리는 문학 교육의 장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장마>에 대한 해석 내용(통설)의 대부분이 작품의 실제에서 벗어난 것으로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비판적 검토를 딛고 우리는 <장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여기서 문제 삼고자 한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1)두 노인의 아들이 각각 국군과 빨치산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2)샤머니즘은 이 작품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질문 1)에 대한 우리의 답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같은 설정은 먼저, 어느 한면의 이념이나 체제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죽음의 기운으로 가득 차 있는 상황 속에 들어 있는 작중 인물들의 현실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 같은 설정은 ‘상호 의지-갈등-화해’의 과정을 밟는 두 안노인의 관계 변화를 극적으로 부각함으로써 배려와 연민이란 이 작품의 주제 가운데 두 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질문 2)에 대한 우리의 답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장마>의 샤머니즘은 작가의 특정한 의도를 실현하기 위한 설정이 아니라 현실의 반영인 것이고, 이 작품이 확보한 현실성의 핵심 근거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샤머니즘은 이 배려와 연민의 마음, 전쟁의 비극성, 절대의 모성, 견딤의 자세 등 이 작품의 주제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매개물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문학 교육의 장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석은 작품의 실제에서 멀리 벗어난 경우가 많다.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상 작품을 꼼꼼하게 읽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 해석에 나아가고자 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목차

1. 머리말
 2. <장마>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장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향하여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정호웅 Jung, Ho-Ung. 홍익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