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 정권수립 과정시 헌법과 고려민주연방제통일방안 상관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process of early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government, the temporary Constitution, and the Confederation System Unification Plan of Democratic Republic of Koryo

최양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rrently, there is a flow of the cold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en the era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pens again, the problem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the pending issue. If the unification issue comes to the fore, both the difference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will be played up as a point. This paper is a piece of research that keeps such a situation in mind. If we analyze the process of the early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temporary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nacted in September, 1948, we can predict the future image of the unified nation argued by North Korea. North Korea still nominates the Confederation System Unification Plan of Democratic Republic of Koryo as the formal unification plan. When analyzing the unification plan of North Korea, we can find some similar points with the process of the early government establishment in North Korea.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s in principle of the people's democracy as a political basic order, and of planned economy as an economical basic order, and nominate a market economy exceptionally. And they argues international pacifism as an international order. I viewed that the process of the early government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has already kept collectivism in mind.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the early government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North Korea, and the establishment Constitution of North Korea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federal state, separation of powers, rule of law) and the five rules (principle of accepting diversity, principle of unification by stages, principle of unification by moderation, principle of pragmatic unification,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result found the process that move on to the collectivism from the way of establishment of the temporary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of North Korea and the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 of North Korea from the view of the principle of the acceptance of diversity. The Confederation System Unification Plan of Democratic Republic of Koryo of North Korea argues that the two Koreas should make a unification as a federation system by establishing the confederation permanent committee in the highest national conference which consists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same number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overseas Koreans. Considering the 66 years of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the unification nation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federal system. But the federal n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centralized federalism and the non-centralized federalism. The Korean peninsula lies in the triple division status, that is, regional division, political division, and national division.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the centralized federalism is unrealistic. To propose the future and vision of the Koreans, the non-centralized federalism is much more realistic. However, the confederation permanent committee through the highest national conference argued by North Korea is a type of government which is a type of parliamentary government by the principle of democratic centralized system. It is very likely to be a centralized federalism. In addition, the process of early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temporary Constitution, and the established Constitution reflected the principle of the democratic centralized system toward the collectivism. Facing the reality of the two Koreas, it is practically appropriate that the proper system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the confederation system and the multiparty system through the separation of powers. When the flow of cold goes away and the flow of reconciliation comes to the Korean peninsula again, the discussion on the unification will be revitalized. Preparing this time, this paper suggests the form of unified nation and that of government.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research the correlation of the process of early establishment of North Korea government, the temporary Constitution, and the Confederation System Unification Plan of Democratic Republic of Koryo.

한국어

한반도는 현재 남북한간에 냉전기류가 흐르고 있다. 화해․협력 시대가 다시 열리면 한반도 재통일 문제가 현안이 될 수 있다. 통일문제가 대두되면 남북한의 이질성과 동시에 동질성이 논점으로 부각될 것이다. 본 논문은 그러한 상황을 염두에 둔 연구물이다. 북한의 초기 정권수립과정과 임시헌법의 내용 및 1948년 9월에 제정된 조선인민민주주의헌법을 분석하여 보면 북한이 주장하고자 하는 통일국가의 미래상을 예측할 수 있다. 북한은 고려민주연방공화국통일방안을 아직까지 공식 통일방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북한의 통일방안을 분석해 보면 북한의 초기정권수립과정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북한의 임시헌법은 정치적 기본질서로 인민민주주의, 경제적 기본질서로 계획경제를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시장경제를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국제질서로 국제평화주의를 주장하였다. 북한은 고려민주연방공화국통일방안을 아직까지 공식 통일방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북한의 통일방안을 분석해 보면 북한의 초기정권수립과정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1948년 9월 제정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 역시 임시헌법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북한의 초기정권수립과정이 이미 집단주의를 염두에 둔 출발이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3대원리(연방국가주의, 권력분립주의, 법치주의)와 5대원칙(다양성수용의 원칙, 단계적 통일의 원칙, 중도적 통일의 원칙, 실용주의적 통일의 원칙, 통합의 원칙)에 입각하여 북한 초기정권수립과정과 북한임시헌법 및 북한제헌헌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북한임시인민위원회와 북한인민위원회 출범방식에서 이미 다양성수용의 원칙에서 볼 때 집단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북한의 고려민주연방공화국통일방안은 남북한 동수의 대표와 적당한 해외동포로 구성된 최고민족회의에서 연방상설위원회를 수립하여 연방제로 통일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남북한 분단 66년을 고려해 보면 통일국가는 연방제로 가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연방국가도 이론적으로 크게 중앙집권연방과 비중앙집권연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한반도는 현재 지역분단, 정치적 분단, 민족분단 등 3중분단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을 고려해 보면 중앙집권연방은 비현실적이다. 다양성을 수용한 가운데 통일국가를 이루어 한민족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하기에는 비중앙집권연방이 훨씬 현실적이다. 그러나 북한이 주장하는 최고민족회의를 통한 연방상설위원회는 정부형태로 민주적 중앙집중제원리에 의한 의회제 정부형태이다. 이는 중앙집권연방으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리고 북한정권의 초기수립과정과 임시헌법 내용 및 제헌헌법은 집단주의로 가기 위한 민주적 중앙집중제원리가 반영된 것이다. 남북한 현실을 고려해 보면 다양성을 반영하는 연방국가와 권력분립주의를 통한 복수정당제로 가는 것이 현실적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냉기류가 해소되어 화해기류가 한반도에 다시 찾아오면 통일논의도 활성화될 것이다. 이때를 대비해서 통일국가의 국가형태와 정부형태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서 북한정권의 초기수립과정과 임시헌법 및 고려민주연방제통일방안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초기 북한정권의 수립과정
 Ⅲ. 북한 임시헌법제정 과정과 내용
 Ⅳ. 북한정권의 수립과정시 헌법과 고려민주연방제통일방안의 유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양근 Choi, Yang-Keu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