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Build and Design Convergence Based Creative Knowledge Sharing System : Contextual Analysis on Hackerspaces Innovation Activities on Google
초록
한국어
기업활동을 위한 ICT 시스템의 범위가 스마트폰이나 기타 다양한 통신융합기기로 확대되면서 융합형 기술에 의한 기업활동의 변화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ICT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확대기업의 소비자 혹은 프로슈머 참여적 특성이 창조적 기업활동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두 가지 주요한 분석의 대상은 혁신에 기여하는 기업 외 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특성의 현상에 대하여 커뮤니티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들이 확대기업의 가상적 환경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나아가 혁신 프로세스의 가상공간 설계가 어떤 구성요건을 포함하여야 하는지 분석한다. 혁신 프로세스를 위한 협업적 가상공간 설계는 컴퓨터 기반의 기업활동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기타 융합형 기기 환경과의 연계를 통한 확대된 기업 프로세스의 설계 및 분석에 대해서는 다루어졌던 예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 현상 시스템(As-Is System)으로 구글플러스의 소셜네크워크 서비스를 선정하고, 참여적 소비자들이 창조적이고, 협업적인 목적에서 구글플러스의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요소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특히 Gmail을 이용한 이메일지인시스템분석, 서클서비스를 이용한 정황적 사회관계분류 시스템, 융합형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위치기반 검색연동 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현상시스템의 SNS으로서의 특성, 혁신 프로세스 지원시스템으로서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구글플러스를 창조적 협업 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하는 사례적 집단으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는 해커스페이스를 관찰하고, 해커스페이스 집단특성과 가상공간에서의 혁신프로세스의 특장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해커스페이스는 개인화된 창조적 과정 및 결과물을 공유하는 집단으로 과정이나 저작물에 대한 소유는 개인적 수준에서 처리되지만 완성된 결과물에 대한 의미/평가/작성패턴을 공유하며 차후의 개인적인 창조작업에 공유의 자산을 활용하는 집단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자치적 커뮤니티가 융합형 SNS를 기반으로 한 가상공간에서 혁신의 과정을 어떻게 달성하고, 어떤 개선점에 대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지 정황적 분석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
1. 해커스페이스(Hackerspaces)
2. 개방형 유저인터페이스의 선행 사용자들
IV. 연구결과
V. 토의 및 미래연구
Vl.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