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change of new social structure, which is represented by aging and new technology, makes emergency and its spread effect be displayed in different way an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mor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so the importance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s emphasized. Therefore, systematic study and policy about emergency management are more important than any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U. S.'s disaster relief and to suggest effective means for Korea. Disaster Management is the generic name of an interdisciplinary field dealing with the strategic organizational management processes used to protect critical assets of an organization from hazard risks that can cause disasters or catastrophes, and to ensure their continuance within their planned lifetime. Assets are categorized as either living things, non-living things, cultural or economic. Hazards are categorized by their cause, either natural or human-made. The entire strategic management process is divided into four fields to aid in identification of the processes. The four fields normally deal with risk reduction, preparing resources to respond to the hazard, responding to the actual damage caused by the hazard and limiting further damage (e. g., emergency evacuation, quarantine, mass decontamination, etc.), and returning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tate before the hazard incident. The field occurs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sharing the same processes, but with different focuses. Emergency Management is a strategic process, and not a tactical process, thus it usually resides at the Executive Level in an organization. It normally has no direct power, but serves as an advisory or coordinating function to ensure that all parts of an organization are focused on the common goal.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relies on a thorough integration of emergency plans at all levels of the organization, and an understanding that the lowest levels of the organization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emergency and getting additional resources and assistance from the upper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disaster relief system needs the private-public partnership. And, disaster relief personnel need continuous training and must keep fully apprised of all possible hazard effects, understand how these effects can affect their operations. Business and industry officials and planners also need to be educated on the full range of potential hazards, their economic implications, and emergency preparedness principles. Emergency management is more complex subject in the public sector. Obviously, there are many kinds of disasters. Rational handling of each kind requires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cause-effect nexuses, appropriate technology, and planning approaches. This complexity extends to planning for human resource requirement as well. Human resources mean people capable of performing formally and informally prescribed roles in governmental, private institution and also as citizens. Therefore, emergency manager and officials should be an expert in the field. The disaster managers and officials should take into account and understand the social, technical, legal and economic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various emergencies. For this purpose,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 to be able to prevent and respond actively to hazards, it is essential to enhance specialization of local employees.
한국어
미국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특히 자원봉사 조직을 연계한 재해구호시스템을 공고하게 구축하고 있다. 재해구호에 관한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국가차원에서 재난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고, 또한 국민의 생명을 중시하여 긴급구조 및 긴급의료체제가 짜임새 있게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미국의 재해구호 활동의 특징 및 시사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경우, 재난구호에 있어 민·관 공조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이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재해구호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책과정에서 시민단체 및 민간부분의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민관 역할분담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미국 재해구호의 강점은 재난 발생 시 신속한 피해조사 및 구호물자 전달 시스템이다. 미국 적십자사의 경우, 500 세대당 20명 이상의 피해조사 자격을 갖춘 봉사원을 파견시켜서 이재민들에 대한 피해상황을 수집하고 있다. 미국은 주택수리, 공공시설 복구 등에 대한 피해조사는 정부가 하고, 이재민들의 생계구호 차원의 긴급구호를 위한 피해조사는 봉사자들이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재해구호물품을 배분하는데 있어 지방자치단체나 공공행정조직이 담당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공무원들은 행정의 공정성과 책임성을 위해 구호물품 전달에 있어 관료주의적인 결정을 내리기 쉽다. 셋째, 미국은 재해구호 인력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다. 전문기능을 보유한 인력들은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 없이도 구호임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이재민 구호영역은 그 특성상 민간단체와 자원봉사자가 대부분을 담당하므로 사전훈련 없이는 오히려 피해주민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의 적십자사는 대형재난 구호요령, 연방정부의 구호사업, 구호소 운영, 급식, 구호품 관리, 재난시 홍보요령, 재난시 보건, 전산운영, 재난구호 강사 양성, 자족지원 등 50개의 과정이 73개의 강좌로 개설되어 실시함으로써 연인원 2천여명 이상의 전문봉사원들을 배출해내고 있다. 넷째, 미국은 재난현장에서 실제 구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민간단체들이 구호활동 수행을 위한 재원조성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모금하여 집행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자발적인 모금운동을 전개할 수 있어 재난대비, 대난대응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민간중심의 자율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다섯째, 미국에서는 재해보험에 적극적으로 가입함으로써 국민 스스로 자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재해구호에 관한 기초논의
1. 재난관리의 개념과 재난대응
2. 재해구호의 개념과 현행 법률 및 제도
3. 새로운 재해구호 활동
Ⅲ. 미국 재해구호 활동 및 시스템 분석
1. 미국의 재해구호 활동 및 시스템
2. 재난관리 시스템과 재해구호
Ⅳ. 결론 : 요약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