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淨土敎의 信觀

원문정보

정토교의 신관

강동균, 혜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aith in a Pure-land Buddhism sect says that I, devilish sentientbeing who exist in my self, can go to be reborn in Paradise certainly throughout a prayer to Buddha. In a Pure-land doctrine, we should notice an original vow doctrine as an inevitable foundation for going to be reborn in Paradise certainly throughout a prayer to Buddha.
The Amitabha's original vow is composed of 48 pledges, the 18th pledge among the Amitabha's 48 pledges is a wish for the sentient being to go to be reborn in Paradise. The messages of ‘When I get the Buddha's enlightenment, and all sentient beings truly believe that they want to be born in my Buddhist land, and they think about it ten times, in that case if thereis anyone who cannot be born in my land, I would not get the enlightenment.' are such foundations that the Amitabha's original vowhas the ability to go to be reborn in Paradise throughout a prayer to Buddha.
Also the message is the foundation of the faith in a Pure-land Buddhism sect.
If Buddhism is defined to be a religion that seeks for the attainment of Buddha hood, then going to be reborn in Paradise also requires the attainment of Buddha hood. It is an awakening enlightenment that makes possible throughout practicing a prayer to Buddha. In a view of Mahayana Buddhism doctrine, it is necessary to denote the foundation for going to be reborn in Paradise throughout a prayer to Buddha. The Amitabha's original vow satisfies with the necessary denotation.
The original vow doctrine is a manifestation of Tatagatha's great compassion. Tatagatha's great compassion is based on the awakened mercy and wisdom by Shakyamuni Buddha. Tatagatha's great compassion has been incarnated into the Amitabha's primal vow. If we accept that the original vow doctrine is the exhibition of Tatagatha's great compassion, we are to be saved when we rely on Tatagatha's original vow. The salvation cause does not exist in sentient beings but do exist in Tatagatha.
The original vowis the pure life as well as the absolute value that sentient beings could have a faith and a trust. Sentient beings are helpless in front of truth. Tatagatha's original vow (equivalent to Tatagatha's promise) is to embrace all sentient beings. The original vow's signification comes to exist when stupid sentient beings are happened to believe and rely on the Tatagatha's original vow. That is to say, the faith in a Pure-land Buddhism sect is to trust the Tatagatha's original vow absolutely, and dedicate his or her whole life for the faith.

한국어

정토교의 믿음이란 나라고 하는 極惡衆生이 念佛을 통해서 틀림없이 往生極樂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정토사상에 있어서 念佛往生의 필연적인 근거로서 本願思想을 주목하게 된다. 그것은 阿彌陀佛의 因行時에 成立된 四十八願이며, 그 가운데 第十八願이 ‘念佛往生願’이다. ‘設我得佛, 十方衆生, 至心信樂, 欲生我國, 乃至十念, 若不生者, 不取正覺’이 本願이 念佛往生을 가능하게 하는 根據이다. 그리고 정토교의 믿음의 근거이기도 하다.
佛敎가 成佛을 위주로 하는 宗敎라고 한다면, 往生도 成佛이어야 한다. 그것은 念佛이라는 실천을 통해서 感得되는 成佛이다. 여기서 大乘思想이라는 見地에서 念佛往生의 思想的根據를 明示해야할 必然性이 要請되어진다. 그 要請을 滿足시켜주는 것이 바로 ‘本願’인 것이다.
本願思想이란 釋尊에 의해서 自覺된 慈悲와 智慧가 바탕이 된 如來의 大悲心이 阿彌陀佛의 本願이라는 具體的인 모양을 갖추고 表現된 것이다. 그것이 如來의 大悲心의 發露라고 한다면, 人間은 단지 如來의 本願에 의지하기만 하면 救濟되는 것이다. 救濟되는 因은 衆生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如來에게 있다.
本願이란 중생이 좌절의 밑바탕에서 믿고 의지할 수 있는 純粹生命이며 絶對價値이다. 眞理앞에서는 無力할 수밖에 없는 凡愚衆生이 그를 ‘攝取不捨’하겠다는 如來의 本願(=約束)을 믿고 依支할 때, 거기에 本願의 意義는 뚜렷이 現前하는 것이다.
정토교의 믿음이란 바로 그런 如來의 本願을 절대적인 것으로 믿고, 그 믿음에 온 생명을 바치는 것이다.

목차

Ⅰ. 淨土敎의 思想的始源
 Ⅱ. 佛敎의 信觀
  1. ‘信’의 의미
  2. 三段階의 ‘信’
  3. ‘信’의 三相
 Ⅲ. 淨土敎의 믿음
  1. 本願의 意味
 한글초록
 참고문헌
 Abstract
 토론논평

저자정보

  • 강동균 Kang, Dong-kyun. 동아대 철학과 교수
  • 혜거 탄허불교문화재단 이사장, 금강선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