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안봉려관과 근대 제주불교의 중흥

원문정보

Annbongryogwan and the revival of Modern Jeju Buddhism

한금순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4권 2010.12 pp.247-28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nbongryogwan who has founded ‘Gwan Eum Temple’ in 1908 was incessantly oppress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ecause of his anti-Japanese movement as a Buddhist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y establishing ‘Gwan Eum Temple’ in 1908, he finally created sturdy basis of Jeju Buddhists’ major activities in 1930s. He finished his practice in ‘Daeheung Temple’ and became a Buddhist monk in 1907. Next year, he moved to Jeju-island. He met great master Woon, in other name Kim Seok Yoon. Annbongryogwan established ‘Gwan Eum Temple’ in virtue of Kim’s supports such as robe succession. Kim stayed in Yonghwa Temple for his practicein 1910, it enabled him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Yonghwa Temple’s Yeongbong and Andowal Yeongbong and Andowal helped to enshrine their statue and altar portrait of Buddha in GwanEum Temple. It paved the way for foundation of ‘Gwan Eum Temple’. In 1918, as Bup Jeong Temple’s anti-Japanese movement carried out, Gwan Eum Temple became under controlled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ntil 1930s. Annbongryogwan had continuous efforts to resist Japanese imperialism and resolve repressions. In 1942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control religious activities as a part of culture repressing reign. Jeju Buddhist Association was founded against suppression. Annbongryogwan newly established Jeju Buddhist Mission which enabled setting up a base of their activities. Annbongryogwan and Gwan Eum Temple’s efforts led a main stream of activities. Being indebted to his effort, Gwan Eum Temple played a key role of Jeju Buddhism in 1930s. Gwan Eum Templ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nd opened to public. Whether related to Buddhism or not, Gwan Eum Temple offered places for public activities. To be focused on these point of view, Annbongryogwan’s contributions for foundation of GwanEum Temple and renovation of modern Buddhism should be noticed. He is a major figure who contributed to history of Jeju Buddhism moreover he is taking some part of history of Jeju-island.

한국어

1908년 관음사를 창건한 안봉려관은 일제강점기 제주불교의 항일이력으로 인한 일제의 통제를 이겨내고 1930년대에 이르러 제주불교 인물들의 주도적 활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1907년 대흥사에서 출가한 안봉려관은 1908년 제주도로 내려와 운대사인 김석윤에게서 가사를 전수 받는 등의 도움을 받으며 관음사를 창건하였다. 1910년 용화사에서 안거 중이던 김석윤과의 인연으로 용화사의 영봉화상과 안도월이 용화사의 불상과 탱화를 관음사로 이운 봉안하여 관음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이 결행됨으로 인해 관음사는 1930년까지 일제의 통제를 받게 되고 안봉려관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무단한 노력을 하게 된다. 1924년 일제의 문화정치의 일환으로 종교활동이 관리되면서 제주불교협회가 결성된다. 안봉려관은 제주불교포교당을 신설하여 제주불교협회 활동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안봉려관과 관음사의 노력은 제주불교협회 활동의 중심이 되었고 그 노력에 힘입어 1930년대에 이르러 관음사는 제주불교를 주도하게 되었다. 안봉려관과 관음사의 노력은 곧 제주불교 활동의 근간이 되었다. 관음사는 불교활동은 물론 불교활동과 관련 없이도 제주도민들이 이용할 정도로 사회에 인식되어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안봉려관은 관음사를 창건하였다는 것만으로의 가치가 아니라 근대 제주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운 인물로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제주불교사 더 나아가 제주도 역사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목차

요약문
 I. 머리말
 II. 개항기 제주불교와 안봉려관의 출가
  1. 개항기 제주불교
  2. 안봉려관의 출가
 III. 안봉려관의 제주불교 활동
  1. 관음사 창건
  2. 안봉려관의 제주불교 활동
  3. 관음사와 근대 제주불교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금순 Han Guem-soon. 제주대 문학박사 한국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