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법성종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토사상

원문정보

The Thought of Pure Land(淨土)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13권 2010.06 pp.45-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India, Buddhists have thought that this world is full of pain. So they cultivate their minds in this world and hope that they will be reincarnated in a painless pure land(净土). Moreover, they believe that others could be reincarnated through their prayer. The idea of creating the world free from pain w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Buddhism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the Mahāyāna Text. This idea is not related to Buddha. The prevailing Buddhist literature made it possible to create a virtual space, Tușita(忉率天), which is the Buddha's training place in his previous life. This is not a real but an imaginary place. The literary imagination became a resonable theory as time goes by. This thought was diffused throughout China, Korea, Japan, and so on.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religious practices for the people in this region. The thought of pure l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two major philosophical orthodoxies, the School of Pure Land(淨土宗) and the School of Fa-Xing(法性宗).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hought of pure land(净土)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analyzes the thought by applying the orthodoxy of the School of the Fa-Xing(法性宗). I find that the pure land(净土), where the Korean people wish to be reincarnated, is not a place free from pain, but the most desirable place for self-improvement. The religious desire of the Korean people, who wish to discipline themselves in a favorable condition, created an imaginary place, the pure land(净土). It also reveals the idea of Buddhism, which regards self-improvement as important.

한국어

인도의 불교도들은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상을 바다와 같은 고통의 세계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수양을 해서, 죽은 다음에는 고통이 없는 정토(淨土)에 환생하기를 희망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도를 통하여 타인을 정토로 환생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고통 없는 세상에 대한 인도인들의 발상은 대승경전이 새롭게 편집되는 과정에서 불교 텍스트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었다. 물론 이런 발상은 역사상의 인물인 석가모니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다만 불교 문학이 유행하면서, 석가모니가 전생에 수행을 했던 공간으로 도솔천(忉率天) 이념을 가상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실재하는 그 무엇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의 사물이었다. 그런데 후세로 내려오면서 이런 문학적 상상력도 그 나름대로 정합적인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런 사상이 다시 중국과 한국 일본 등등에 전파되면서, 이 지역의 민중들에게는 중요한 종교행위의 일부가 되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이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승되어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는, 이런 정토에 대한 생각을 크게 두 가지 철학전통 위에서 전개해왔다. 하나는 정토종(淨土宗)의 전통이고 다른 하나는 법성종(法性宗)의 전통이다. 본 논문은 법성종 전통의 입장에서, 정토 사상을 평가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저들이 환생하기를 희망하는 정토란 고통이 없는 곳이라기보다는,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충만한 공간임을 밝혀내었다. 좋은 환경에서 수행하기를 희망하는 종교적인 염원이 정토라는 특별 한 세계를 만들었다. 이 부분에서도 역시 자기 수행을 중요하게 여기는 불교의 발상이 잘 드러난다.

목차

I. 머리말
 II. 희망의 나라로 향하는 동경
  1. 인도의 경우
  2. 중국의 경우
  3. 일본의 경우
  4. 삼국-고려-조선의 경우
  5. 만일염불회(萬日一佛會; 혹은 염불당)의 시작과 소멸
  6. 현재의 모습들
 III. 법성종 교학체계에서 본 정토
  1. 일심의 철학
  2. 포기하는 사람을 위한 방편의 셜치
  3. 극락세계에 가는 방법
 I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규탁 Shin, Gyoo-tag. 연세대 서울캠퍼스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